[쿠키 건강]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면역질환융합연구사업단 김완욱 교수팀은 포스텍 연구팀과 공동으로 류마티스 관절염 조절 유전자 ‘NFAT5’를 최초로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NFAT5는 신장(콩팥) 등의 높은 삼투압 환경에서 세포를 보호하고 여러 기관에서 세포의 생존, 발달 등에 관련된 기능을 하는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NFAT5가 유전적으로 50%가 감소된 실험군에 류마티스 관절염을 유도한 후 발병 정도를 살펴본 결과, 정상대조군에 비해 관절염이 거의 완벽하게 억제 됐다. 류마티스 관절염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활막세포의 증식과 신생혈관 형성 역시 현저하게 낮았다. NFAT5 유전자가 일부분만 소실됐음에도 불구하고 발병이 거의 억제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완욱 교수는 “NFAT5가 어느 정도만 조절돼도 관절염의 치료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것을 보여준 연구결과”라며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 및 치료 기술에 대한 획기적인 기반이 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면역학·류마티스학 분야 권위 있는 학술지 ‘관절염과 류마티즘’ 7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유진 기자 uletmesmile@kmib.co.kr
서울성모, 류마티스관절염 조절유전자 규명
입력 2011-05-20 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