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전립선암 검진을 받은 남성과 받지 않은 남성의 20년 후 전립선암 사망률에 유의차가 없다고 스웨덴 연구팀이 BMJ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전립선암 검진을 통해 전립선암 사망을 줄일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무작위 비교시험을 실시했다.
대상은 1987년에 스웨덴의 한 도시에 거주했던 50~69세 남성 9062명. 이 가운데 출생 데이터리스트에서 6번째 마다 선별한 1494명을 검진군으로 배정했다.
검진은 1987~1996년에 3년 마다 실시했다. 1, 2회째(87년과 90년)는 직장지진만 실시, 3, 4회째(93년과 96년)는 전립선특이항원(PSA)도 측정했다(컷오프치 4μg/L).
4번째 수검자는 69세 이하만 대상으로 했다. 수검률은 각각 78%(1161/1492명), 70%(957/1363명), 74%(895/1210명), 74%(446/606명)였다.
그 결과, 2008년까지 전립선암 진단을 받은 경우는 검진군이 85명(5.7%), 대조군이 292명(3.9%)였다.
대조군과 비교한 검진군의 전립선암 사망위험은 1.16, 콕스비례해저드 분석에서 나타난 위험비(HR)는 1.23으로 유의차는 없었지만, 시험 시작 당시 나이를 조정하자 HR은 1.58로 높아졌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트리뷴
전립선암 검진해도 사망률 안줄어
입력 2011-05-16 0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