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스트레스를 받거나 무언가에 신경을 쓰면 배가 아픈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연간 5854억 원의 의료비가 쓰이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13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하 보의연)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15세 이상 국민 중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병원 진료를 받은 사람은 100명 중 6명꼴이었으며 이는 한 해 동안 병의원을 1회 이상 이용한 사람 중 6.8%에 해당하는 수치였다.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3회 이상 외래진료를 받거나 입원을 경험한 환자도 100명당 1.2명이었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1.4배 더 많고 나이가 들수록 더 많이 앓고 있었다. 과민성 장 증후군 환자의 87.6%는 약을 처방받았고 이들이 처방받은 약의 수는 평균 5.5개였다.
이로 인한 의료비용도 무시 못 할 수치. 2008년 한 해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인한 의료비는 5854억 원(5563억~6406억 원)으로 추정됐다.
이중 보건의료서비스와 약국 비용 등을 합산한 의료비용이 3499억 원, 교통비용이 903억 원 등 직접비용이 4402억 원이었고 의료이용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비용이 1452억 원이었다. 일반의약품, 건강기능식품, 건강보조기기 등 비공식적 의료비용을 포함하면 7296억 원 수준으로 추산됐다.
특히 응답자의 6%는 지난 3개월간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직장에 3일 이상 나가지 못했으며 10.8%는 일을 하는데 상당한 지장을 받았다.
연구책임자인 최명규 교수(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는 “과민성 장 증후군은 기능성 질환으로 그동안 다른 질환에 비해 사회경제적 부담이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번 연구를 통해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질환임이 밝혀졌다”며 “기능성 질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근거를 바탕으로 한 진단, 치료 및 관리에 대한 지침제정 및 교육이 필요하고 이를 위한 근거창출 연구가 필요하다”며 “환자에게도 질병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홍보와 교육 등 올바른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이유없이 배아픈 과민성 장 증후군, 연간 의료비만 5854억 원
입력 2011-05-13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