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학교병원 8년간 피부과 외래환자 분석결과
[쿠키 건강] 갱년기 대표적 증상인 안면홍조가 20~30대 젊은층에서도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안면홍조증은 긴장, 흥분 등으로 감정이 격앙되거나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시시때때로 피부에 있는 혈관이 자율신경의 영향을 받아서 안면부의 강한 열감으로 시작해 피부가 붉어지고, 차갑고 끈적끈적한 땀이 생기기도 하며, 머리에서 목· 가슴 등 아래 방향으로 퍼지기도 한다.
전남대학교병원은 2003년부터 2010년까지 8년간 안면홍조증으로 치료받은 환자를 분석한 결과 총 환자수는 1756명(남자 593명, 여자 1,163명)이었으며, 젊은층인 20대~30대가 395명으로 22.5%를 차지했다고 12일 밝혔다.
안면홍조증은 50대가 373명(남자 141명, 여자 232명)으로 가장 많은 21.2%를 차지했으며, 40대 370명(남자 93명, 여자 277명)으로 21.1%, 60대 338명(남자 123명, 여자 215명)으로 19.2%, 30대 204명(남자 65명, 여자 139명)으로 11.6%, 20대 191명(남자 66명, 여자 125명)이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03년 141명(남자 53명, 여자 88명), 2006년 237명(남자 80명, 여자 157명), 2010년 291명(남자 90명, 여자 201명)으로 2003년 대비 2배 늘어났다.
안면홍조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으로는 피부가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혈관을 싸고 있는 교원 섬유와 탄력 섬유가 손상되고 처음에는 이 손상이 회복되지만 만성적으로 햇빛에 노출되면 변성이 일어나 피부 노화가 발생, 혈관이 확장돼 안면 홍조를 유발할 수 있다.
또 오랫동안 여드름, 아토피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등과 같이 피부에 염증이 만성화 된 경우 후유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스테로이드가 포함된 약물을 장기간 도포 시 피부가 얇아지고 혈관이 확장돼 발생하기도 하며, 사춘기의 소녀들에게 안면 홍조가 자주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사춘기에는 감정변화가 심하고 이에 의해 자율 신경이 자극되어 피부의 혈관이 늘어나게 되기 때문이다.
전남대병원 피부과 이승철 교수는 “안면 홍조는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심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원인 질환에 따라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조기에 피부과 의사의 진찰을 받아 꾸준히 치료를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외출시 UVA와 UVB를 모두 차단해 줄 수 있는 자외선 차단제 사용 △뜨거운 목욕탕이나 사우나에 오래 있거나 추운 겨울에 찬바람을 맞는 등 심한 온도변화에 노출 회피 △술, 담배,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 자극적이거나 뜨거운 음식은 삼가 △피부에 자극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화장품이나 비누의 사용 회피 △규칙적인 생활과 함께 스트레스를 피하기 위한 적당한 운동 등 안면 홍조를 보이는 환자들은 일상생활에서의 증상의 조절을 위한 노력들이 많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20~30대 젊은층서 ‘안면홍조’ 급증
입력 2011-05-12 1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