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5~2010년 인공와우수술 환자를 분석한 결과, 총 수술환자는 3351명으로 집계되었으며 남성 1649명, 여성 1702명으로 남여간에 차이는 적었다.
청각장애는 농과 난청으로 분류되는데 농(deaf)은 보청기 착용 또는 미착용 상태에서 청력만으로 말을 들어 이해할 수 없을 정도(보통 70dB 이상)로 청각장애가 있는 사람이고, 난청(hard-of-hearing)은 보청기 착용, 또는 미착용 상태에서 ‘청력’만으로 말을 들어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어려운 정도(보통은 35∼69dB)로 청각장애가 있는 환자이다.
최근 6년을 합산한 인공와우 수술환자 3351명 중 청각장애등급 2급이 1604명, 1급 장애인은 528명, 3급 장애인은 526명이었다. 2010년말 청각장애인 등록현황을 보면 총인원은 26만명이며 이중 중증장애인(1급∼3급) 기준에 해당하는 장애인 10만969명 중 2658명(2.6%)이 수술을 받았으며, 상대적으로 경증인 5급과 6급 장애인은 6년간 30여건을 보여, 청각장애가 심하거나, 고도난청자가 수술을 많이 받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최근 6년간(2005∼2010년) 인공와우 수술을 받은 환자 중 9세 이하가 1321명으로 가장 많았고, 10대는 611명으로 그 뒤를 이었으며 20대부터 60대까지 연령층에서는 2~3백여명이 고르게 수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최근 6년간 인공와우 수술을 받은 환자 중 9세이하에서는 남성이 많고, 10대~60대 연령층에서는 여성 환자가 많았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인공와우수술 환자 40%는 9세 이하
입력 2011-04-20 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