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황사가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 악화시키기도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그동안 황사가 호흡기 계통에 위해하다는 추정은 있었지만 직접 감기를 발생시킨다는 사실을 의학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아산병원 이비인후과 장용주 교수팀은 환경 및 대기오염 관련 국제저널‘흡입 독성학(Inhalation Toxicology)’ 최신호에 가장 흔한 감기 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와 황사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팀은 사람의 코 점막에서 떼어낸 상피세포를 배양해 황사에 노출시키지 않은 대조군 세포, 황사에 노출시킨 세포, 리노바이러스에 노출된 세포, 리노바이러스 감염 후 황사에 노출시킨 세포 등으로 나눠 감기와 관련된 염증물질(IFN-γ, IL-1β, IL-6, IL-8)의 분비량을 측정했다.
실험 결과 어떤 것에도 감염되지 않은 세포의 염증물질 복제율을 100%로 봤을 때 황사에만 노출된 세포는 140~175%, 감기바이러스만 노출된 경우는 123~164%의 수치를 보였다. 특히 감기 바이러스 감염 후 황사를 노출시킨 경우에는 151~337% 수준으로 수치가 급상승해 아무것도 노출되지 않은 상피세포에 비해 약 2~3배 정도 많은 염증 매개 물질을 복제한 것으로 나타났다.복제율과 분비량이 올라갔다면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이며, 수치가 높을수록 증상이 더 심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황사는 봄철 중국 서북부 지역과 몽골 남부의 고비사막 지역에서 발생하는 모래 먼지로, 수천km를 이동해 한반도에 도달한다. 입자의 크기가 매우 작아(10μm 이하) 코나 입으로 흡입되는 데 이럴 경우 호흡기계 손상을 유발하고 폐 기능에 악영향을 줘 천식과 만성폐쇄성폐질환, 심혈관계질환 및 뇌혈관계 질환 등이 증가하는 것으로 그동안 추측됐다.
장 교수는 “감기와 황사의 관계에 대한 최초의 연구라는 데 의미가 있다”며 “추측으로만 알려져 왔던 황사의 호흡기질환, 특히 감기에 대한 악영향이 명백하게 밝혀졌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유진 기자 uletmesmile@kmib.co.kr
“황사가 감기 악화시킨다”
입력 2011-04-12 1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