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분석 결과, 전체 진료환자 절반 육박해
[쿠키 건강] 20·30탈모세대가 급격히 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탈모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5년 14만5000명에서 2009년 18만1000명으로 나타나 최근 5년 동안 24.8% 증가했으며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도 307명에서 374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2009년 기준 남성 9만3000명, 여성 8만8000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간 많았으며 20~30대에서는 남성환자가 많은 반면 40대 이상은 여성이 더 많았다.
특히 전체 진료환자 중 20~30대 진료환자의 비율이 높았는데 20~30대가 8만8000명으로 48.4%를 차지했으며 20세 미만 진료환자도 2만5000명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와 관련한 건강보험 진료비도 해마다 증가해 2005년 102억원에서 2009년 153억원으로 나타나 50%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피부과 조남준 교수는 “탈모는 머리카락이 빠지는 증상으로 원형으로 탈모가 시작되는 원형탈모증과 주로 두정부에서 진행되는 안드로젠성탈모증(남성형탈모증), 흉터를 동반한 반흔성탈모증과 특별한 증상 없이 나타나는 비반흔성탈모증으로 나뉜다”며 “이중 원형탈모증은 전 인구의 약 1.7%가 일생 중 한번은 경험하고 안드로젠성탈모증(남성형탈모증)은 일반적으로 40~50대에 시작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심한 경우 사춘기 직후에 시작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는 “탈모는 아직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스트레스나 면역반응이상, 지루성피부염이나 본인 스스로 머리카락을 뽑는 습관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 교수는 “남성형탈모의 경우 특별한 예방법이 없으며 원형탈모인 경우에는 평소 스트레스를 줄이고 규칙적인 생활과 과도한 음주나 담배를 피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며 “너무 자주 머리를 감는 것은 두피나 머리카락에 자극을 줘 증상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한편 탈모치료법으로는 스테로이드 병변 내 주입, 국소스테로이드·전신 스테로이드 투여, 광선치료, 면역치료, 냉동치료 등이 있으며 남성형탈모의 경우 바르는 발모제를 사용하거나 치료제 복용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또 심한 경우 수술요법으로 모발이식을 하는 방법이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창연 의약전문기자 chyjo@kmib.co.kr
20·30대 탈모환자 급격히 늘어
입력 2011-03-28 1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