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는 건강보험심사평가데이터를 활용해 2005~2009년까지 건강보험 약품비 변동양상과 약품비 증가에 영향을 끼친 요인별 기여정도를 분석했다.
분석 자료에 따르면 건강보험 약품비는 2005년 7조 3천억원에서 2009년 11조 7천억원으로 1.6배 증가했으며, 가입자 1인당 약품비도 2005년 연간 155천원에서 2009년 연간 243천원으로 1.6배 늘어났다.
또한 가입자중 65세 이상의 1인당 약품비는 77만8천원으로 64세 이하의 1인당 약품비 17만7천원보다 4.4배 많았으며, 외래 이용횟수도 65세 이상은 연간 34.2회로 64세 이하의 연간 16.4회보다 2.1배 높았다(2009년). 노인 인구 증가와 이에 따른 의료이용량 증가로 인해 의료비 및 약품비 증가 추세가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건강보험 전체 외래 방문중 약제 처방율은 2005년 85.3%에서 2009년 79.1%로 다소 줄어들었다. 반면 감기 등 급성상기도 감염이 전체 외래 방문횟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13.9%에서 2009년 11.5%로 감소했으나, 급성상기도 감염의 약제처방율은 2005년 98.9%에서 2009년 96.6%로 매우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5~2009년 사이 건강보험 약품비는 평균적으로 전년대비 12.8%(100.0%)씩 증가했다. 이 기간 건강보험 약품비 증가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입원에피소드 건수 증가(기여정도: 89.6%)였으며, 다음으로 입원일당 약품비(기여정도: 31.4%)의 증가였다.
외래는 원외처방전당 투약일수 증가(51%)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원외처방전수(26%), 투약일당 약품비(23%)의 순으로 약품비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건강보험 약품비 증가 주원인은?
입력 2011-03-18 0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