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자 하나면 충분, 엉덩이둘레와 키로 산출
[쿠키 건강]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비만. 이러한 비만을 정하는 기준으로 흔히 BMI(body mass index)를 사용하지만 이보다 더 좋은 방법이 제시됐다.
남가주대학 리처드 버그먼(Richard N. Bergman) 교수는 BMI를 대체하는 새로운 지수로 엉덩이둘레(hip circumference)와 키를 이용해 계산하는 새로운 비만지수(BAI, Body Adiposity Index)를 Obesity에 발표했다.
교수는 “체중을 측정할 필요없이 줄자 하나로 더 정확하게 비만도 지수를 측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재 체지방률을 가장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은 수중계량법과 이중에너지X선 흡수측정법(DXA)이지만 비용과 시간에 걸리는게 문제였다.
버그먼 교수는 이번 멕시코계 미국인과 흑인을 대상으로 하는 2건의 연구를 통해 성별, 나이, 키, 체중, BMI,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의 수치로 BMI보다 더 정확한 비만도 지수를 산출하는 방정식을 만들어냈다.
멕시코계 미국인의 연구대상자는 부모 및 3명 이하의 조부모가 멕시코인이거나 멕시코출신 성인 남녀 총 1733명.
한편 흑인 연구대상자는 부모 모두 흑인이고 본인 역시 미국에서 태어난 성인남녀 총 223명.
DXA로 구한 평균 체지방률은 각각 33.2%(8.7〜61.2%), 29.7%(7.5〜52.9%)였다.
이어 교수는 DXA 측정치를 골드스탠다드로 해서 최적의 비만도 지수를 도출해 보았다. 구체적으로는 멕시코계 미국인에서 DXA산출 총 체지방률과 나이, 키, 체중, BMI,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의 상관관계를 검토했다.
그 결과, 상관관계(R)는 가장 높은 ‘엉덩이둘레’ 0.602(P<0.001)에서 가장 낮은 ‘나이’ 0.158(P<0.001) 범위에 분포됐으며 ‘키’는 0.524(P<0.001)였다.
이 결과를 근거로 교수는 새로운 비만도 지수 방정식에는 엉덩이둘레와 키를 이용하는게 유용하다고 판단, 방정식에서 허리둘레와 키의 가중치를 검토했다.
결과적으로 BAI는 엉덩이 둘레를 키의 1.5제곱으로 나눈 다음 여기서 18을 뺀 수치라는 정의를 만들어냈다. BAI는 흑인에서도 타당한 방법으로 확인됐다.
교수는 “BAI는 체중계는 물론 다른 기계도 필요없이 줄자만 있으면 장소와 시간을 불문하고 BMI보다 정확하게 비만도를 평가할 수 있다. BMI처럼 남녀간 통계적 보정을 할 필요도 없다”며 실용성을 강조했다.
현재 교수는 다른 인종에서도 적응이 가능한지 연구 중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트리뷴
BMI보다 정확한 비만지수 BAI
입력 2011-03-11 08: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