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해마다 진단용 방사선 진단기기가 매년 발전하고 있음에도 소아 대상의 방사선량의 기준은 X-ray 흉부 부위 일뿐, CT나 치과용 엑스레이 등의 가이드라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최경희 의원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인의 인체 촬영부위별 방사선량의 권고량은 X-ray를 비롯하여 CT나 치과용 X선을 연구해 발표했지만, 소아는 X-ray 흉부 부위만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최 의원에 따르면 식약청은 지난 2006년부터 방사선량 관련해 연구용역 사업을 진행해 인체부위별 환자선량의 권고량을 마련했다. 그러나 소아의 환자선량 권고량은 마련하지 않아, 소아들이 방사선량이 성인과 유사하게 다뤄질 것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식약청에서 최근 발간한 ‘중재적 방사선시술에 따른 방사선방어 가이드라인’ 중 방사선조사집단을 대상으로 실시한 역학조사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난 바와 같이, 어린이는 어른에 비해 방사선에 더 민감하다.
하지만 진단용 방사선관계종사자들은 자격증 취득 이후에 보수교육이 의무화돼 있지 않아 의료현장에서 의료기기마다 방사선량을 달리해 적용하고 있다.
최 의원은 “고부가가치 의료기기 제품 개발 지원을 목표로 한다는 이 시점에서 첨단 의료기기의 안전화와 더불어 방사선량의 노출 위험도를 제시하고, 키와 체중에 따른 환자선량 권고량을 제시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치과용 엑스레이 아이에게도 괜찮나?
입력 2011-03-03 1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