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직장인 윤광석씨는 지난해 건강검진을 통해 전체 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은 반면 HDL 콜레스테롤이 다소 낮다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인터뷰) 윤광석 / 회사원
“콜레스테롤 관리가 필요하다는 소견을 받고 음식 조절에 부쩍 신경 쓰고 있고요. 회사에서도 틈나는 데로 계단 같은 곳을 이용해서 많이 걷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저밀도,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혈관이 좁아져 혈류가 줄다 결국 끊기게 되면서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협심증 같은 질환을 부릅니다.
반면 몸에 좋지 않은 콜레스테롤을 청소해주고, 혈관기능을 호전시키는 콜레스테롤도 있습니다.
인터뷰) 김원 교수 / 경희의료원 순환기내과
“얇은 비행접시 형태의 HDL 콜레스테롤은 말초 조직에 콜레스테롤이 많아지면 간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간에서 나쁜 콜레스테롤을 배출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DL 콜레스테롤 수치는 낮추고, 반대로 고밀도, HDL 콜레스테롤을 늘리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좋은 방법입니다.
보통 HDL 콜레스테롤이 남성 40mg/dL 미만, 여성은 50mg/dL 미만이면 심혈관 질환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콜레스테롤 관리를 위해선 주 서너 번, 하루 30분 이상의 규칙적인 운동과 함께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또 좋지 않은 지방 함량이 높은 과자나 케이크보다는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견과류, 등 푸른 생선, 올리브유로 조리한 음식이 좋습니다.
인터뷰) 김원 교수 / 경희의료원 순환기내과
“우리 몸에 특히 좋지 않은 것이 포화지방산이거든요. 단 음식이나 기름에 튀긴 음식들이 좋지 않고, 대신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섭취하는 게 HDL 콜레스테롤을 늘리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아울러 평소 육류를 자주 먹지 않는다면 칼로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살코기 섭취를 조금 늘리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무엇보다 HDL 콜레스테롤이 노년기 치매 예방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반드시 관리가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쿠키뉴스 최은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