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병원 입원환자 분석결과, 폐렴 입원환자중 56%가 50대이상
[쿠키 건강] 환절기에 만성폐쇄성폐질환환자, 노인, 어린아이들은 폐렴을 잘못 관리하다간 사망할 수도 있어 철저한 자기관리와 주의가 당부된다.
전남대학교병원은 8일 2003년부터 2010년까지 8년간 폐렴으로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 총 8201명을 분석한 결과 50대이상이 55.9%로 가장 많았으며, 10세 이하 어린아이도 29.6%나 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전남대학교병원에 따르면 폐렴으로 중환자실에서 집중치료를 받은 환자중 50대 이상이 77.0%를 차지했으며, 폐렴으로 사망한 환자도 82.0%가 50대이상 노령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지난 8년간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는 총 8,201명이였으며, 남자 환자가 5,223명으로 여자환자 2,978명보다 1.75배 많았다. 그 중에서 50대이상 폐렴환자가 4585명(남자 3029명, 여자 1556명)으로 가장 많은 55.9%를 차지했다. 이어 10세미만 환자가 2424명(남자 1481명, 여자 943명)으로 29.6%, 40대가 433명(남자 293명, 여자 140명)으로 5.3%, 10대가 282명(남자 171명, 여자 111명)으로 3.4%, 30대가 267명(남자 142명, 여자 125명)으로 3.3% 등으로 나타났다. 폐렴으로 사망한 환자도 총 529명(남자 378명, 여자 151명)중 50대이상이 434명으로 82.0%를 차지했다.
폐렴은 발열 및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을 통해서 의심할 수 있고, 가슴 방사선 촬영을 통해 폐의 변화를 확인해 진단할 수 있다. 원인이 되는 미생물을 확인하는 것은 쉽지는 않지만 가래를 받아서 원인균을 배양하거나, 혈액배양검사, 소변항원검사 등을 통해서 원인균을 진단할 수도 있다.
전남대학교병원 호흡기내과 권용수 교수는 “폐렴이 진행하여 패혈증이나 쇼크가 발생할 수 있고, 폐의 부분적인 합병증으로는 기류나 기흉, 폐농양 등이 동반될 수 있다”며 “폐의 염증이 광범위하게 발생해 폐의 1차 기능인 산소 교환에 심각한 장애가 발생하면 호흡부전으로 사망에 이르게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독감이나 폐렴구균에 의한 폐렴은 예방을 위한 백신이 있기 때문에 사전에 접종하는 것이 좋으며, 만성폐쇄성폐질환환자, 노인, 어린아이들은 환절기에 외출을 삼가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환절기 ‘폐렴’ 주의보
입력 2011-02-08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