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호 보령제약 사장
스위스의 다국적제약사인 로슈가 지난 2009년 신종인플루엔자 치료제인 타미플루로 벌어들인 매출은 약 2조2000억원이다. 또 전세계 1위 의약품인 화이자 리피토(고지혈증치료제)의 지난 2009년 매출은 약 15조3000억원에 이른다. 이처럼 하나의 신약이 성공하게 되면 소형 자동차 300만대의 수출효과와 같은 부가가치를 창출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정부도 이러한 신약의 부가가치를 인정해 신약 개발을 새로운 미래 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다각도의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제약산업의 역사는 100년이 넘는다. 하지만 우리나라가 신약을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10여년에 불과하다. 1999년 SK제약의 선플라주(항암제)를 시작으로 최근 식약청의 허가를 받은 보령제약의 카나브(고혈압치료제)까지 국산 신약은 15개에 불과하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국산 신약 개발에 대한 기대감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지금까지 국내 산업을 이끌어 온 여타 산업 분야와 비교해 절대 뒤지지 않는다. 오히려 더 큰 기대감을 갖고 있는 분야가 바로 여기다.
그동안의 국산 신약의 개발과 성과를 짚어보고 앞으로의 국산 신약 개발과 관련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조명해 봤다.-편집자 주-
①최고의 고혈압약을 개발하다…보령제약 ‘카나브’
②맨땅에 헤딩하는 심정으로 만들어진 최고의 고혈압약
③“국내에서 가장 성공한 신약으로 성장시킨다”
[쿠키 건강] 지난해 9월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신약 시판 허가를 받은 보령제약의 고혈압신약 ‘카나브(성분명 피마살탄)’의 판매가 목전을 두고 있다.
국내 최초 고혈압 신약이자 국내 15호 신약인 카나브의 개발 및 마케팅의 총 지휘를 맡고 있는 보령제약 김광호 사장은 “국내에서 가장 성공한 신약으로 성장시킬 수 있다”고 자신한다.
김광호 사장은 카나브의 의미에 대해 “국민들의 다빈도 질환이며 시장 규모가 큰 순환기계질환의 국내최초 개발신약이란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고혈압약 시장은 국내만 1조4000억원 시장이다. 같은 계열(ARB)약물 시장도 7000억원에 이른다. 세계시장도 가장 큰 42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인구의 고령화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매년 20%씩 성장하고 있다.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마케팅 성과에 따라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는 신약이라고 생각한다”고 성공 신약을 자신했다.
또 김 사장은 “카나브는 국민세금의 지원으로 개발된 신약이다. 다국적사의 약가 보다 저렴하게 책정해 국내 고혈압환자들에게 경제적으로 혜택을 돌려 줄 수 있는 국민 고혈압 신약이 됐으면 한다”는 희망도 말했다.
카나브는 국내 뿐 아니라 해외 시장 진출에 유리한 조건을 획득하기 위해 전임상과 임상 1상을 유럽(영국)에서 진행했다. 비용도 더 들고 여러 가지 기준도 까다로워 당시로서는 무모한 방법이 아닌가라는 생각도 들게 했지만 결과적으로 탁월한 선택이 됐다.
이에 대해 김광호 사장은 “카나브는 미국 특허를 시작으로 일본, 호주, 유럽 6개국 등 총 17개국에서 32개의 물질 특허와 제법 특허를 취득하고 있어 글로벌 신약으로서의 기대감도 높은 편”이라며 “현재 미국, 중국, 인도, 유럽 등과 다양한 방법으로 해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해외 진출에도 자신감을 보였다.
또 “현재 중국과 남미의 경우 파트너사 결정 단계여서 곧 좋은 소식을 곧 전해 드릴 수 있을 것 같다”며 “이르면 2014년부터는 기술, 원료, 완제품의 다양한 형태로 해외에 진출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신약강국 코리아/보령제약 ‘카나브’] ③“국내에서 가장 성공한 신약으로 성장시킨다”
입력 2011-01-07 1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