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기획] 올핸 식품 이물질 사고 줄어들까?

입력 2011-01-05 14:01
[쿠키 건강] 2011년 올해는 식품 이물질 사고가 줄어들까? 결론부터 얘기하자면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식품 이물질 사고가 최근 들어 급증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 식품·이물 보고 현황에 따르면 2010년 6월 기준 식품이물질 사고는 4217건에 이른다. 이는 2009년(2134건) 대비 두 배 가량 늘어난 수치다.

이처럼 지난해 이물질 보고 수치가 급격히 늘어난 이유는 그동안 우지라면·쓰레기 만두소·쥐머리 새우깡·금속 스낵 등 쇼킹(?)한 이물질 사고가 있은 뒤 정부가 이물질 사고 관련 제도를 강화했기 때문이다. 식약청은 지난해부터 그동안 일반민원으로 처리하던 이물질 사고를 별도의 이물신고센터를 통해 직접 관리하고 있다. 식품업체도 이물 사고 발생 시 24시간 내에 식약청에 반드시 보고하도록 의무화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그동안 ‘쉬쉬’하며 묻히기도 했던 식품 이물질 사고 보고가 늘 수 밖에 없었던 것.

여기에 더해 몇몇 식품 이물 사고는 높아진 국민의 눈높이와 맞물려 사회적으로 큰 이슈를 형성하면서, 일반 국민 입장에서는 최근 들어 식품 이물 사고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인식되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식약청 식품관리과에 따르면 식품에서 이물질이 발견됐다는 보고는 거의 대부분 사실이다. 이물질이 아닌 것을 억지로 보고하는 소비자는 거의 없다는 게 식약청 설명이다.

대개 이물을 보고한 소비자들은 식품 제조공정 중에 들어갔다고 생각해 클레임을 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식품 이물보고 10건 중에서 1건 정도만이 제조공정상의 문제로 확인된다. 나머지는 유통단계에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경우다.

특히 지난해 해썹(HACCP·식품위해요소 중점관리제도) 업체 식품에서 이물질이 사례가 여러 건 보고됐는데, 사실 100% 제로화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식약청이나 업계의 설명이다. 원료의 복합적인 부분을 100% 가려내기 힘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식품 이물 관리는 걸음마 단계다. 업체들이야 최근 들어 강화된 제도를 들어 당연히 “식품관리가 까다롭다”고 얘기할 수 있다. 하지만 이제 막 이물질 관리에 들어간 상황에서 정부의 식품관리가 까다롭다는 주관적인 잣대는 이물질 사고로 피해를 입은 소비자를 납득시키기 어렵다. 정부의 까다로운 식품관리체계는 당장 시설투자 비용 등이 발생하지만 결국엔 이물질 저감화로 이어진다. 업체 입장에서도 꼭 나쁜 것 만은 아니다. 이미 매일유업·동원F&B 등 몇 차례 이물 및 오염 등으로 곤혹을 치른 후 업체들의 경우 안전성 강화를 위해 생산 라인을 재구축했다.

한국소비자원 식의약안전팀 관계자는“이물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해당업체는 소비자 대면 접촉을 통해 어떻게 해서든 문제를 덮으려고만 한다”며 “사전 합의를 통해 문제를 덮게 될 경우 이물질 사고는 끊임없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식품업체들의 이물질 사고가 향후 제품 품질 개선으로 연결돼야 하지만 아직까지는 미진한 면이 많다”며 “식약청도 이물이나 위생 관련 부분에 대해 현실성 있는 원인 분석과 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이 관계자는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