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자고 일어나도 몸이 찌뿌듯하고 피로가 계속된다는 점일 텐데요.
만성 피로의 진단과 치료 방법을 최은석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기자) 일상적 활동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기운이 없는 상태를 뜻하는 피로.
이런 피로가 1개월 이상 계속되는 경우 지속성 피로라 부르고, 6개월 이상 지속되면 만성 피로라 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업무로 인한 피로나 스트레스를 제대로 해소하지 못해 지속적 피로감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동현 / 직장인
“일요일에는 하루 종일 집에서 푹 쉬고 잠만 계속 자는데도 월요일 날 출근하면 피로함이 몸에 계속 남아 있습니다.”
특히 만성 피로는 극심한 피로감의 지속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초래합니다.
인터뷰) 최재경 교수 / 건국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정서적인 부분도 문제가 될 수 있고요. 그 외 다양한 증상들, 특히 수면 장애 등으로 인해 본인의 직업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들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만성 피로 증후군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식욕저하로 인한 체중감소나 우울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심한 경우 자살을 생각할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충분한 휴식으로도 피로가 회복되지 않는 증상이 6개월 이상 반복되고, 인후통이나 근육통, 관절통, 두통 등이 동반된다면 즉시 병원을 찾는 게 좋습니다.
인터뷰) 최재경 교수 / 건국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정서적인 부분들을 안정화시키고, 여러 가지 기능, 한마디로 소화가 잘 되지 않는다거나 두통이 있다거나 하는 증상 또는 기능에 대한 부분들을 약물 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걷기나 자전거 타기 같은 유산소 운동도 만성 피로의 회복과 예방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됩니다.
또 가공식품보다는 소화를 돕는 채식이나 녹말, 단백질 위주로 단순하고 담백하게 먹는 것이 증상을 회복시키는 데 중요하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되도록 전문의를 찾아 피로의 원인과 해결책을 찾는 게 건강을 지키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합니다.
쿠키뉴스 최은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