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국립암센터 강한성 유방암센터장
국내 사망 원인 1위로 꼽히는 암은 우리나라 사람 3명 중 1명이 걸릴 정도로 흔한 병이다. 1년 동안 발생하는 신규 암 환자만 해도 13만 여명에 이를 정도다. 암 진단은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커다란 충격과 스트레스를 준다. 가족 중 한 사람이 암으로 진단받으면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여러 가지 크고 작은 변화가 생긴다. 커다란 충격과 스트레스를 가져다주는 암의 예방과 조기 치료를 위해 국민일보 쿠키뉴스는 국립암센터의 암 전문가들을 통해 매주 한 가지 암을 선택해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2011년을 앞두고 새롭게 건강 계획을 수립하는 분들도 많을 것이다. 이번 연재가 독자들의 건강 지킴에 도움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편집자 주-
[쿠키 건강] 다른 고형암에서와 같이, 유방암 치료 방법은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항호르몬 치료 그리고 표적치료 등이 있다. 어떤 치료를 할지는 유방암이 어떠한 상태에서 진단되었는지, 유방암의 종류(에스트로겐수용체 양성 여부)에 따라 다르다.
유방암이 진단되면 대개 수술을 하게 되는데, 유두를 포함해 유방조직을 모두 제거하는 유방전절제술과 유방의 일부만 제거하는 유방 보존술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유방 보존 수술을 많이 시행하고 있는데, 유방보존술은 유방 전 절제술에 비해 생존율이 비슷하고 오히려 삶의 질에서 우월하다. 종양의 크기가 커서 보존 수술이 어려울 때에도 수술 전 화학 요법으로 암의 크기를 줄여서 유방보존술을 시도할 수가 있다. 또한 겨드랑이 림프절 절제를 최소화하는 감시 림프절 절제 방법이 개발되어, 수술한 쪽 팔이 붓는 림프부종을 예방하고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있다.
수술 이후 병기에 따라 항암 치료를 받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보통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약물을 병합해서 치료를 받게 된다. 항암치료를 통해 전이나 재발 등의 위험을 줄여줄 수 있다.
조기에는 수술 후에 재발률이 적지만, 병기가 높아질수록 (유방암의 크기가 크거나 액와부의 림프절에 전이가 많이 돼 있을수록) 재발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아주 조기의 유방암을 제외하고는 수술 후 항암 요법을 받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항암제의 선택은 환자의 연령, 병기,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방사선 치료는 유방 보존 수술을 받았거나, 전 절제술을 받았더라도 액와 림프절에 전이가 4개 이상인 환자의 경우 수술 후에 방사선 치료를 받게 된다. 치근에는 양성자 치료라는 새로운 방사선 치료 방법이 도입되어, 폐에 조직 손상 없이 유방암 환자에게 정밀한 방사선 치료가 가능해졌다.
그 외에 유방암세포에 호르몬 수용체가 있는 환자의 경우(전체 유방암 환자의 60%) 항호르몬제 복약이 필요한데, 일반적으로는 5년간의 항호르몬제 치료가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호르몬제제 중 타목시펜은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작용해 항암 효과를 나타내고, 폐경 전후의 모든 유방암 환자에게 사용된다.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엑세메스틴은 폐경후 여성에서 기존의 타목시펜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여러 가지 신약(표적 치료제)들이 개발돼 환자들에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방암 중, HER-2 라는 단백질이 양성인 경우 표적치료제인 허셉틴이라는 주사약을 1년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최신 항호르몬 치료제와 허셉틴 같은 표적치료제가 널리 사용되어 유방암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다.
◇유방암의 치료 성적= 유방암은 다른 암에 비해 치료 성적이 좋은 암이다.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유방암의 5년 생존율은 1993~1995년에 77.9%, 1996~2000년에 83.2%, 2001~2005년에 88.0%, 2003~2007년에는 89.5%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유방검진의 활성화 등으로 조기 유방암의 발견 빈도가 높아졌을 뿐 아니라, 유방암에 좋은 효과를 보이는 신약들이 개발되어 수술 후 보조요법에 쓰이고 있기 때문이다.
유방암도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초기에 발견했을 경우에는 재발률은 낮고 생존율은 높은 경향을 보인다. 유방암 수술 환자의 5년 생존율은 유방암 수술 후 0기는 99%, 1기는 95%, 2기는89%, 3기는 59%, 4기는 28%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방검진을 통한 조기발견과 적극적인 치료가 유방암 재발률을 줄이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
1차 수술 치료가 성공적이었더라도 끝난 것이 아니다. 2006년 한국유방암회지에 따르면 유방암 재발률은 20~30%로 재발한 환자의 70.9%가 수술 후 3년 내 재발하며, 92%는 수술 후 5년 내에 재발한다. 수술 후 2~3년 동안 재발 위험성이 제일 높아 수술 이후에도 재발위험은 존재하므로 지속적인 재발 방지 관리가 중요하다.(③유방암 검진 방법과 예방에서 계속)
[암 이렇게 극복하자(5)-유방암] ②유방암의 치료 방법
입력 2010-12-27 0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