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찬바람과 건조한 날씨가 연일 계속되는 겨울은 안구건조증이 더욱 심해지는 시즌이다. 더욱이 난방기를 하루 종일 틀어놓는 건조한 실내생활 때문에 겨울은 눈건강 관리에 특별히 신경을 써야 하는 계절이다. 이처럼 차갑고 건조한 겨울철 날씨에 특히 신경 써야 하는 것이, 바로 하나뿐인 우리의 눈 건강이다.
특히 현대인들의 스마트폰 사용량이 증가하고, 컴퓨터 사용이 많아짐에 따라 안구건조증은 이제 흔히 접할 수 있는 고질적인 질환으로 손꼽히고 있다. 안구건조증이란 먼지나 이물질을 씻어내고 윤활유 역할을 하는 눈물의 분비량이 줄어들거나 건조한 환경으로 인해 빨리 증발, 눈이 시리고 따가우며 안구가 조이는 듯한 통증을 느끼는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안구건조증은 콘택트렌즈를 장기간 착용하거나 라식, 라섹수술과 같은 시력교정수술 후에 갑자기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최근에는 과도한 냉난방으로 인해 건조해진 실내 환경과 장시간 PC사용, 자가운전의 증가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한 경우가 많다.
안구건조증은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때에는 인공눈물이나 약물을 사용해 부족한 눈물을 보충해주고, 안구의 염증을 치료해 주는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눈물이 오래 고여 있을 수 있도록 해주는 누점 폐쇄술이나 누소관 폐쇄술 같은 수술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평소 눈의 피로의 주는 행동을 삼가고 실내 환경을 건조하지 않게 주의하는 것이다.
시력교정수술 전문병원 강남하늘안과 이정 원장은 “안구건조증은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꼴로 나타나는 흔한 질병이지만 적극적으로 치료하는 사람은 드물다. 또 증상을 방치할 경우 두통과 염증을 유발할 수도 있고, 심한 경우 시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며 적극적인 치료와 일상생활에서의 주의를 당부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
겨울철 실내습도 ‘`뚝’`… 안구건조증 주의보
입력 2010-12-18 07: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