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지 5명 중 1명, 생존가능”

입력 2010-12-17 10:18
서울성모병원 박규남 교수팀, “응급시 저체온 요법으로 생존율 급증”

[쿠키 건강] 심근경색과 뇌졸중 등 여러 원인으로 심장이 갑자기 멈추는 병원 외 심정지환자 5명 중 1명은 생존할 수 있다는 임상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성모병원 응급의료센터장 박규남 교수팀은 16일 병원 외 심정지 환자에게 저체온 요법의 응급처치를 시행한결과 생존율이 2.5%에서 23.2%까지 향상됐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박규남 교수팀은 지난 2009년 3월부터 올해 9월까지 병원 외 심정지로 내원한 164명의 환자 중 심폐소생술 후 자발순환이 돌아온 혼수환자에게 저체온요법을 포함한 적극적인 ‘심정지 후 집중치료’를 실시한 결과 38명(23.2%)이 생존해 퇴원했다고 밝혔다.

저체온요법은 심장이 멈춘 후 다시 자발순환이 회복된 혼수환자들의 체온을 32-34도로 낮춰 24시간동안 유지한 후 서서히 재가온하는 치료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저체온요법은 심장마비로 뇌에 산소공급을 받지 못해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후 심장 활동이 회복된 환자에게 2차적인 뇌손상을 줄여 심정지 후 혼수상태에 빠진 환자의 예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증명된 유일한 치료법이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우리 나라에서 병원 외 심정지 환자는 2만명 가량 발생하지만 대부분이 숨지고 이 중 약 500명(2.5%)만이 생존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박 교수팀의 치료 결과는 질병본부에서 발표한 우리 나라 전체 생존퇴원률 2.5%보다 약 9배 높은 것이다. 또 미국 전체 생존퇴원율 4.4%보다는 5.3배 높다.

박규남 응급의료센터장은 “응급의료체계 질 관리 및 병원에서의 저체온 요법을 시(市)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시애틀은 심정지 환자 생존률이 16.3%로 높다”며 “심정지 발생시 가족이나 주민 등 목격자의 적극적인 기본 심폐소생술과 구급대원들의 제세동 및 신속한 이송, 그리고 저체온요법을 포함한 집중 치료를 통해 환자의 생존률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메디포뉴스 이민영 기자 lmy@medifo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