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소리청한의원, 이명환자 적외선체열진단 분석결과
[쿠키 건강] 이명난청 전문 마포소리청한의원이 적외선체열진단을 실시한 300명의 이명(귀울림) 환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상열형(上熱型)’, ‘상열허한형(上熱虛寒型)’, ‘전신냉증형(全身冷症型)’, ‘비냉형(鼻冷型/코가 찬)’, ‘화병형(火病型)’ 등 총 5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 가운데 ‘상열허한형’이 40%(120명)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이어 상열형 27%(80명), 전신냉증형 16%(48명), 비냉형 9%(28명), 화병형 8%(24명) 순서로 조사됐다. 실험은 정확성을 기하고자 23℃의 상온에서 옷을 벗은 채 15분이 지난 후 상체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이뤄졌다.
적외선체열진단은 인체의 통증 및 질병부위에서 발출되는 극미량의 적외선을 감지해 미세한 체열변화를 컬러영상으로 보여줌으로써 질병여부를 검사하는 것을 말한다. 건강한 사람은 체열분포가 좌우대칭을 이루지만 통증부분에서는 체열이 높아지거나 낮아져 균형이 깨지게 되는데, 노랗고 붉은색 계통일수록 열이 몰려있는 것이고 파랗고 어두울수록 차가운 것으로 해석된다.
이명은 열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유종철 마포소리청한의원 원장은 “상승하는 성질의 ‘열’은 압력을 높여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결국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아 달팽이관의 청각세포를 파괴하게 된다”고 밝혔다.
이명 환자 가운데 가장 많은 ‘상열형’은 전신과 손발이 따뜻하면서 머리부위에 열이 몰려 있는 유형으로, 평상시 건강한 체질이지만 스트레스와 신경과민, 과음 등의 원인으로 머리와 귀에 열이 몰려 이명이 발생한 경우다. 주로 젊은 남자들에게 나타나고, 감국, 조구등, 백질려 등의 청열 약재를 처방해 머리와 귀에 몰린 열을 식혀 주는 치료를 하며, 평상시 국화차나 솔잎차, 칡차 등을 상복하면 도움이 된다.
‘상열허한형’ 환자의 경우는 가슴과 복부, 허리 부위가 냉하면서 동시에 머리와 귀에는 열이 몰려 있는데, 평소 허약한 체질의 사람이 스트레스, 신경과민, 수면부족 등에 시달리다보면 이같은 증상이 발생한다. 치료법은 허약한 기운을 보충하면서 동시에 머리와 귀에 몰린 열을 분산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상심자, 여정실, 오미자, 숙지황 등의 약재를 활용하고 일상에서는 오미자차, 뽕잎차 등을 즐겨 마시면 좋다.
이와 관련, 유종철 원장은 “머리를 많이 쓰면서도 운동도 잘 하지 않은 부실한(?) 사무직 직장인들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유형인데, 실제 사무직군의 비중이 노동직군에 비해 2배 이상 이명 발생률이 많은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50대 이후 급격한 체력저하로 인해서도 이같은 체열진단 사진이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화병형’이명은 40대 이상의 주부에게서 주로 나타나는데, 인체의 상하 기혈순환 장애로 인해 가슴과 복부 사이에 ‘ㅅ’모양의 붉은색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항상 가슴이 답답하고 한숨을 잘 쉬며, 식사 후에 음식물이 역류하는 경우가 많고 신경이 예민하고 얼굴에 열이 잘 오르며 가슴이 두근거리고 초조하고 불안한 증상이 나타난다. 황련, 황금, 치자 등의 약재로 가슴에 맺힌 열을 풀어 주는 처방을 쓰며, 산책, 명상, 요가, 기공 등을 통해 심신의 안정을 도모하고 땀을 적당히 흘리면 좋다.
반면 머리와 귀에 열감이 없더라도 이명이 발생할 수 있는데, 에너지 부족과 혈액순환 장애가 원인이 된다.
‘전신냉증형’은 특히 가슴과 복부, 손발, 허리 등이 모두 차면서 머리와 귀에 열감이 거의 없이 ‘이명’이 발생하는데, 한의학에서는 전신의 기운이 모자라 귀로 가는 에너지가 부족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치료법으로는 ‘녹용’과 평상시 차로 마셔도 좋은 ‘인삼’과 ‘황기’ 등의 약재로 허약한 기운을 보충하면서 몸을 따뜻하게 하고 소화력을 높여주는데 주안점을 둔다.
적외선체열진단 사진으로는 코 부분이 까맣고 귀 부분이 파랗게 보이는 ‘비냉형’ 또한 마찬가지다. 해당부위의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런 이명 환자들의 경우에는 찬바람을 쐬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
“이명환자, 10명 중 6명 ‘상열허한형’”
입력 2010-12-15 1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