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전립선 비대증 환자가 매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어 건강보험 진료비 규모도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은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전립선 비대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전립선 비대의 실진료환자가 2002년 21만 7000명에서 2009년 69만 7000명으로 최근 7년간(2002~2009년) 3.2배, 연평균 18.1%씩 증가했다.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2009년 전립선 비대 환자의 83%가 50~70대였다. 60대가 23만6531명(34.0%)으로 가장 높았으며, 70대가 18만887명(26.0%), 50대가 16만1284명(23.1%) 순이었다.
최근 7년간 연령대별 연평균 증가율을 살펴보면, 70대가 19.8%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으며, 50대가 19.7%, 80대가 18.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실진료환자를 분석해보면, 노령 인구에서 전립선 비대 질환자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당히 높았다.
2009년을 기준으로 80대가 인구 10만 명당 2만2887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90대 이상이 2만234명, 70대 1만9318명, 60대 1만2709명 순으로 분포돼 있다.
급여비 증가 추이를 살펴보면, 최근 7년간 총진료비는 연평균 21.3%, 공단부담금은 연평균 21.4%의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총진료비는 2002년 589억원에서 2009년 2,275억원으로 3.9배, 연평균 21.3%씩 증가했으며, 공단부담금은 2002년 396억원에서 2009년 1536억원으로 3.9배, 연평균 21.36%씩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세의대 세브라스병원 비뇨기과 전문의 나군호 교수는 “고령화에 의한 발생건수의 증가 및 선진화에 따른 고령남성의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자각(awareness) 증가에 따라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진단이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전립선 비대증 환자, 최근 7년간 매년 18%씩 증가
입력 2010-12-06 0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