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그간 수입산을 카피해 만들었던 치과용 임플란트 제조 수준이 상당부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국내제조가 수입규모를 훨씬 앞지르고 있어 수입대체 효과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국내 치과용 임플란트 시장규모가 꾸준히 증가됨에 따라 국내 제조업체의 활발한 신제품의 개발과 품질·기술발달로 국내 제품에 대한 신뢰도 향상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식약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05년~09년) 치과용 임플란트의 국내제조(수출액 제외) 및 수입을 분석한 결과, 전체 국내 시장규모는 연평균 26.6%의 성장세를 보였다.
국내 제조(수출액 제외)는 ‘05년(463억)보다 ’09년(1,791억)에 약 3.8배 증가하였으며, 수입보다 약 5배 이상(’09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치과용 임플란트의 수출은 05년 2.2억에서 09년 429억으로 대폭 증가했으며 09년에 처음으로 수출이 수입규모를 앞질러 의료기기 무역수지 개선에 기여했다. 또 최근 국내 제조 역량의 성장으로 수출을 포함한 국내 제조 규모(’09년 약 2220억)는 훨씬 더 크다.
품목허가 수를 분석한 결과, ‘06년부터 제조가 수입을 꾸준히 앞서고 있으며, ‘09년 기준, 수입 56건에 비해, 제조는 101건으로 이는 국내 제조기술이 크게 발전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치과용 임플란트 국산이 대세…품질·기술발달로 신뢰도↑
입력 2010-10-26 1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