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국립중앙의료원이 국립의료원이던 2009년 11월에 서울시내의 경찰서와 소방서에 행려환자 이송자제 요청을 했던 것이 사실로 확인됐다.
14일 국립중앙의료원이 이애주의원(한나라당·보건복지위)에 제출한 국정감사자료에 따르면 2009년 11월 모든 서울시내 각 경찰서 및 소방서에 발송한 협조공문에 진료비 미수납의 문제에 따라 병원 운영의 막대한 손실이 있게 되니 시립병원에 진료의뢰 및 진료비를 지급하도록 협조 의뢰했다.
당시 국립의료원은 2008년 12월에도 같은 공문을 보낸 바가 있다.
이는 이애주 의원실에 서울특별시가 제출한 자료와 국립중앙의료원이 제출한 자료를 비교했을 때 국립중앙의료원이 국립의료원 시절부터 서울시립병원들에 비해서 병상 수에 비해 더 적은수의 행려환자 및 노숙자진료를 하면서 행려환자 및 노숙자의 이송자제 요청을 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지난 4월2일 취임한 국립중앙의료원의 박재갑 원장은 ‘명품인력’과 ‘명품병원’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계획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특수법인으로 새로운 출발이후 스타급 의료진 영입과 병원이전 추진에서 나타나는 문제 등 민간의료기관과 차이가 없는 행태다.
이에 일부에서는 박재갑 원장의 국립중앙의료원에 행보에 대해 ‘공공성을 포기하고 민간의료기관처럼 수익성에 치중해 운영하는 것이 아닌가?’는 우려를 표명했다.
이애주 의원은 “현재 국립중앙의료원의 행려환자 이송자제요청과 명품병원을 추구하고 수익구조를 개선하려는 국립중앙의료원의 경영방침을 볼 때 공공성을 포기하고 민간의료기관처럼 운영될 우려가 있다”며 “공공의료기관으로서 국립중앙의료원의 존재목적은 사회적 약자에 대해 공공의료를 제공하는 공공성이지 수익성이 목적이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또 “국립중앙의료원이 민간의료기관의 행태를 따라하는 형태가 될 것이 아니라 국립의료기관으로서 공공의료기관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노숙자 이송자제하라?” 공공성 포기 국립중앙의료원
입력 2010-10-14 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