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0% “GM 식품 못 믿겠다”

입력 2010-10-07 17:25
신상진의원 “GMO원료 함유 제품 표시 강화해야”

[쿠키 건강] 식량 자원 확보가 주요 과제로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7명은 GM 식품이 불안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사실은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신상진(한나라당)이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GM농산물에 대한 소비자 및 업체 인지 조사 분석’ 자료를 분석한 결과 드러났다. 이번 연구는 농림수산식품부에서 2009년도에 발간한 용역연구사업으로 전국에 거주하는 소비자 108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71.5%(‘매우 불안하다’ 28.1%, ‘불안하다’ 43.4%)가 GM식품에 대해 불안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불안하지 않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5.0%(‘불안하지 않다’ 4.3%, ‘전혀 불안하지 않다’ 0.7%)에 불과했다.

GM식품이 불안하다고 느끼는 가장 큰 이유로는 ‘식품으로서 안전성이 충분히 입증되지 않아서’가 53.1%로 가장 높은 가운데, ‘미래에 인체와 환경에 예측치 못한 결과 발생’이 37.0%, ‘정보부족으로 식품 안전함과 위험함을 판단하기 어려워서’가 4.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GM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평가를 강화하고 GM식품에 대한 정보와 용어에 대한 교육이 절실한 것을 의미한다고 신상진 의원은 지적했다.

한편 GM농식품의 구입 의향에 대해서는 ‘아니다’가 45.1%, ‘그렇다’는 19.1%로 나타나 아직까지 소비자들의 GM농식품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소비자들은 GM식품에 대해 소비자의 ‘알권리’ 및 ‘선택권 확보’보다 ‘잠재적 위험성 차단’을 위해 GMO표시를 강화해 주길 원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자 중 43.6%는 ‘잠재적인 위험성 차단’을 위해 GM농산물의 표시가 필요하다고 응답해 ‘알권리 보장(36.2%)’, ‘선택권 확보(19.9%)’ 보다 많았다.

이와 관련해 신 의원은 “GMO식품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팽배하다는 공식적인 조사결과가 발표된 만큼, 당국은 GMO 원료가 해당 식품에 사용됐는지 아닌지를 명확히 표기함으로써 소비자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면서 “의혹과 불안감만 증폭시킨 과거 미국산 쇠고기 사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GMO의 안전성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가 국민들에게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식품당국이 교육과 홍보활동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