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응급의료헬기 기타목적 운행 중 절반은 지자체장, 지차체의원, 공무원 업무지원으로
지난 2003년 이후 응급환자이송 헬기구입을 위해 응급의료기금에서 총 325억원이 지자체에 지원됐으며 현재 8대 구입 6대 운행 중에 있다. 하지만 전체 헬기 운행 중 응급환자 이송건은 13%에 그치고 있으며 경남, 전남을 제외하고는 0.8~4%로 극히 미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자체장 및 공무원의 출장 및 도내 홍보, 업무용으로 운행되고 있으나 보건복지부는 예산만 지원했을 뿐 지금까지 실태조사 및 파악을 전혀 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실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전체 응급구조헬기 운영현황 중 주 목적인 응급환자 이송은 전체 운행 2775건 중 359건으로 겨우 13%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도 예산을 지원한 보건복지부는 7년간 무려 325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놓고 지금까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점검이나 실태조사를 한 번도 한 적이 없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응급구조헬기가 지자체장 및 지자체의원, 공무원의 업무지원에 사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3년간 응급헬기의 기타목적 사용내역을 보면 총 128건 중에 시장(정·부), 도지사(정·부), 지자체 의원 및 공무원의 업무지원이 절반인 64건에 달했다.
시·도지사 업무지원 세부내역에는 前대통령생가 방문, 나로호발사 참관, 여수박람회참석, 방송사TV토론회 프로그램 출연, 마라톤대회 참석, 낙동강지역시찰, 독도방문, 승마대회 참석 등이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은 “325억원의 혈세가 투입된 응급구조헬기가 원래 목적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일부 지자체의 업무지원이나 홍보활동 등에 사용되고 있지만, 보건복지부는 예산만 지원한 후 수수방관하고 있다”면서 “지금이라도 원래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국감] 응급헬기, 단체장 개인용?…응급환자이송 전체 운행 중 13% 수준
입력 2010-10-04 1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