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 수 의원 “의약품 안전한 조제와 투약을 위한 용량 소량화 필요”
[쿠키 건강] 부정확한 용량투약의 사례가 많아 안전조제를 위한 의약품 소량화 의무생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4일 박은수의원(민주당·보건복지위)에 따르면 의약품의 처방조제시 질환의 특성상 정확한 용량이 투약돼야만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일부 의약품의 경우 처방용량에 부합하는 소용량이 제대로 출시되지 않아 약국 내에서 임의적인 분절작업을 거쳐 조제함으로써 안전하고 정확한 투약이 이루어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강심제(디고신)나 혈전용해제(와파린), 부신피질 호르몬제, 갑상선 호르몬제 등 용량에 예민한 의약품의 경우 분절과정에서 제형이 잘 부서져 정확한 조제와 투약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혈압약인 프로토와 같이 흡습성이 높은 약제들의 경우도 특수포장을 해체해 분절처방함으로써 의약품의 변형이 발생하고 있고, 일부의 경우는 조제비를 줄이기 위해 고함량을 분절하기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박 의원은 “현재 분절처방이 자주 이뤄지는 품목들에 대해 제대로 조사한 후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할 개연성이 있는 품목에 대해서는 최소함량 생산을 의무화하도록 하는 복지부의 조치가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용량 부정확한 의약품 투약·조제 ‘빈번’
입력 2010-10-04 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