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중 의원, 사회취약계층 실종현황 분석결과 한해 2만3천명 실종자 발생
[쿠키 건강] 아동, 노인, 치매환자, 정신지체장애인 등 사회취약계층에서 작년 한해 2만3000여 명의 실종자가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재중의원(한나라당·보건복지위)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06~2009 사회취약계층 실종자 현황’을 분석한 결과 나타났다.
유 의원에 따르면 사회취약계층 실종자는 2006년 2만360명, 2007년 2만3504명, 2008년 2만2846명, 2009년 2만3707명이 발생했으며 이는 매년 2만2604명, 하루평균 62명꼴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 중에서 0~13세의 실종아동 수는 2006년 7,064명에서 2009년 9,240명으로 증가했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실종자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학생들을 상대로 한 실종 예방 교육 및 안전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60세 이상 노인은 2006년 2890명, 2007년 3545명, 2008년 4266명, 2009년 3244명으로 총 1만5590명이 실종됐으며 2009년에는 하루평균 8.9명꼴로 실종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가 급속화 되면서 노인인구가 급증하는 가운데 노인실종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치매환자 실종자의 경우 2006년 3534명, 2007년 4118명, 2008년 4246명, 2009년 5659명으로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며 2006년에 비해 60%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미발견자 수도 2006년 11명, 2007년 16명, 2008년 22명, 2009년 24명으로 늘어나고 있어 치매환자 실종문제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정신지체장애인 실종자는 2006년 6872명, 2007년 7239명, 2008년 4864명, 2009년 5564명으로 2008년에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고 있으며 미발견자의 경우 2006년 16명, 2007년 18명, 2008년 15명, 2009년 57명으로 작년에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 의원은 “실종자 발생은 가족 구성원들에게 힘든 고통을 안겨주고, 가족해체까지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다. 이를 더 이상 가족의 문제로 방치해서는 안될 것이며 사회적·국가적 문제로 인식하고 실종자 예방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아동·노인·치매환자 하루 62명 실종
입력 2010-09-29 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