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고령자의 악력, 걷는 속도, 의자에서 일어나기, 서서 균형잡기 등의 신체능력은 사망과 관련한다고 영국 런던대학 유니버시티 컬리이 레이첼 쿠퍼(Rachel Cooper) 교수가 BMJ에 보고했다.
쿠퍼 교수는 임베이스 및 메드라인에서 각각 1980~2000년, 1950~2009년에 발표된 논문 2270건을 선별. 신체기능과 사망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MOOSE와 PRISMA statement의 기준을 이용해 문헌을 검토했다.
모두 나이, 성별, 체격 등 운동기능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 보정했다.
악력과 관련성을 검토한 5만 3,476명 14개 시험 분석에서는 악력이 가장 약한 경우의 사망 해저드비(HR)는 가장 강한 경우에 비해 1.67로 유의하게 높았다.
즉 악력이 1kg 증가할 때마다 사망HR은 0.97 낮아진다는 사실이 4만 4636명 13개 시험의 분석에서 나타난 것이다.
또 1만 4,692명의 5개 시험을 대상으로 보행속도를 검토한 결과, 가장 느린 경우 HR은 가장 빠른 속도에 비해 2.87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또 2만 8,036명 5개 시험을 대상으로 의자에서 일어나는 속도를 비교한 결과, 가장 느린 경우의 HR은 가장 빠른 경우에 비해 1.96이었다.
서있는 상태에서 균형잡기와 사망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5개 시험에서 측정법과 분류법이 달랐기 때문에 분석할 수 없었지만 균형을 잘 잡지 못하는 경우 사망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데이터를 근거로 교수는 이러한 신체기능 평가가 고령자의 사망위험례를 발견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트리뷴
고령자 운동기능 감소, 사망 위험인자
입력 2010-09-14 0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