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뇌간이식술이 인공와우로 치료가 힘든 난청환자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와 신경외과팀은 2008년 7월부터 올해 7월까지 뇌간이식술을 받은 환자 10명을 조사한 결과 9명이 청각재활에 도움을 받았다고 1일 밝혔다.
뇌간이식술은 인공와우로도 청력회복이 안되는 내이(內耳)기형환자나 청신경 이상 환자에게 실시하는 것으로 귀의 청신경이 아니라 뇌에서 소리를 담당하는 뇌간에 직접 전기자극을 줘 들을 수 있게 하는 수술이다.
병원에 따르면 10명의 환자 중 7명은 청신경이 없거나 기능이 없는 선천성 난청환자였고 3명은 달팽이관이 뼈로 바뀐 와우골화로 인공와우이식이 어려운 난청환자였다. 또 6명은 전에 인공와우 이식술을 받았지만 자극이 없어 언어 치료 효과를 보지 못했다.
이들 중 뇌간이식술용 금속감지기 사용기간이 길었던 일부는 초기에 언어 발달 능력이 높아졌지만 시력장애와 정신지체 장애를 같이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그 발달 속도가 느렸다.
와우골화 환자 중 1명과 다른 청각질환자 1명은 입모양을 보지 않고도 대화가 가능했다. 또 다른 한 명은 입모양을 보고 의사소통을 하는데 장애가 없었다. 그러나 난청기간이 길었던 1명은 청각자극이 약해 이식기계의 사용을 포기했다.
이비인후과 최재영 교수는 “뇌간이식술은 인공와우에 실패해 청신경 기능이 없거나 와우골화 환자의 재활에 유용한 방법”이라며 “뇌간이식술 후 환자의 청각재활 치료성적이 차이 나는 원인 등에 대해 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유진 기자 uletmesmile@kmib.co.kr
뇌간이식술, 인공와우 난청환자에게 ‘효과’
입력 2010-09-01 1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