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1년생 약 11%, 2차 검사 필요한 ADHD 관심군

입력 2010-08-25 17:24
경기도, 전국 최초 초등학교 1학년생 9만여 명 대상 ADHD 무료 전수조사 실시

[쿠키 건강] 경기도가 전국 최초·최대규모로 초등학교 1학년생 9만여 명을 대상으로 ADHD(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무료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결과, 약 11%인 1만 여명이 2차 검사가 필요한 ADHD 관심군으로 나타났다.

이번 전수조사는 1차 선별검사 결과 1101개교가 조사에 참여했으며, 총 8만9629명의 아동이 검사를 받았다. 그 중 88.6%(7만9417명)가 정상군으로 나타났으며, 11.4%(1만212명)는 2차 검사가 필요한 ADHD 관심군으로 나타났다.

1차 선별검사 결과 관심군으로 나온 아동 1만212명 중 검사에 동의한 6785명의 아동에게 2차 검사를 실시한 결과, 5033명(74.1%)의 아동이 정상군으로 나타났으며, 주의군으로 나타난 1752명(25.9%)의 아동에 대해서는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와 협력해 정신과 전문의 면담 및 3차 정밀검사를 실시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번 검진을 통해 발굴된 1752명의 아동이 모두 ADHD 아동과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아동기에 다른 장애 틱, 우울증, 불안장애, 발달장애, 정신지체 등으로 주의력문제를 가진 아동 50% 이상이 포함돼 있음을 감안해 3차 정밀검진 및 의료기관의 진단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주목할 만한 사실은 가정의 경제력 수준에 따른 ADHD의 정상군과 임상군의 분포 비율이다. 정상군에서는 경제수준이 ‘하’인 경우가 6.0%, ‘중하’인 경우가 29.3%로 나타났다. 반면 임상군에서는 경제수준이 ‘하’가 17.14%, ‘중하’가 41.30%로 전체 58.44%로 정상군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이 하류 또는 중하류라고 응답했다.

이는 경제력이 낮은 가구가 경제력이 높은 가구에 비해 ADHD 증상을 가진 아동의 발생빈도가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경제적으로 취약한 아동의 주요문제는 불안·우울·위축·사회적미성숙·신체문제 등 내재화문제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빈곤계층의 아동이 보이는 정신건강상의 문제는 조기에 치료하지 않을 경우 발달과업을 성취하는데 어려움이 생기고, 이는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야 한다. 더욱이 경제적으로 취약한 빈곤아동의 경우 치료비 부담으로 인해 전문치료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게 된다. 이는 결국 빈곤의 대물림이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져 나중에 큰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게 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