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엘헬스케어, 신개념 혈액응고억제제 ‘자렐토’
[쿠키 건강] 정맥혈전색전증(Venous Thromboembolism: VTE)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고관절·슬관절 전치환술과 같은 인공관절 수술이다.
이는 질병이나 노화로 인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관절을 인공 관절로 대체함으로써 통증을 없애고 정상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정형외과 수술이다. 주로 관절이 약해진 노년층 시술이 많아 효도수술이라고도 불린다.
그런데 고관절·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후에 오히려 더 주의해야 하는 질환이 있다. 바로 수술 후 회복기간 동안 거의 움직이지 않아 불필요한 혈전이 생성돼 혈류의 흐름을 방해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정맥혈전색전증이다. 고관절·슬관절 전치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을 예방하기 위한 혈액응고억제제인 바이엘헬스케어의 ‘자렐토’가 국내 출시돼 눈길을 끌고 있다.
◇고관절·슬관절 전치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 예방 활동 필수
최근 증가하고 있는 고관절 및 슬관절 전치환술은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심장을 향하던 피가 역류되면서 다리의 대정맥이 손상되고 수술 후 장기간 움직임이 제한되면서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정맥혈전색전증은 주로 하지의 심부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과 다리 정맥에서 기인한 혈전이 혈류를 타고 폐로 이동해 폐동맥을 막는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PE)을 의미한다. 특히 폐색전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정맥혈전과 연관된 질병은 유럽에서만 연간 150만 건 이상 발생하고 있으며, 매년 50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 이는 유방암, 전립선암, 에이즈,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의 합보다 두 배 높은 수치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정맥혈전색전증 발병에 대한 구체적 통계자료는 없는 상황이나, 국내 전문가들은 서양의 발병률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상적인 혈액응고억제제, 자렐토
바이엘 헬스케어의 자렐토(성분명 리바록사반)는 고관절 및 슬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성인 환자의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에 사용되는 신개념 경구용 혈액응고억제제다.
기존에 사용되어 온 혈액응고억제제의 대부분은 주사제로 환자가 매번 병원을 방문해 투여 받아야 한다는 점 에서 병원과 환자 모두에게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경구용 혈액응고억제제의 경우에도 용량 조절이 어렵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돼 적극적인 정맥혈전색전증 예방 활동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되어왔다.
바이엘헬스케어의 새로운 혈액응고억제제 ‘자렐토’는 경구용으로 주사제보다 편리하며, 1일 1회 복용으로 우수한 혈전 방지 효과를 보인다. 또한 치료 용량범위가 넓어 잦은 혈액 모니터링이나 용량조절도 필요하지 않아 차세대 혈액응고억제제로 큰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자렐토는 혈액응고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Factor Xa를 선택적으로 직접 억제하여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트롬빈의 활동이 아닌 트롬빈의 생성 자체를 차단한다. 이는 잠재적이고 치명적인 혈액 응고를 예방함에 있어 진일보한 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바이엘 연구개발본부센터는 기존 혈전증 예방 치료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20만개의 분자를 스크리닝하고 수백 건의 합성 실험과 무수한 테스트를 시행한 끝에 Factor Xa를 선택적으로 직접 억제하는 물질합성에 성공할 수 있었다.
또한, 대규모 글로벌 임상연구 프로그램인 RECORD(REgulation of Coagulation in major Orthopaedic surgery reducing the Risk of DVT and PE)를 통해 슬관절 및 고관절 전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의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한 주사제인 에녹사파린과 자렐토의 비교 연구를 실시, 자렐토의 우수한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한 바 있다.
◇차세대 블록버스터로 주목 받고 있는 자렐토
자렐토는 2008년 9월 캐나다에서의 첫 허가 를 시작으로 현재 유럽, 호주, 싱가포르, 중국 등 전세계 약 100여개국에서 허가됐으며, 국내에서는 2009년 4월 슬관절 및 고관절 전치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의 예방에 대한 허가를 받았다.
자렐토는 현재 허가된 적응증 이외에도 보다 많은 환자군에서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잠재적 적응증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이 높은 암 환자 및 암 병력 환자의 정맥혈전색전증 예방, 활동량이 감소된 급성 내과질환입원 환자의 정맥혈전색전증 예방, 정맥혈전색전증의 치료, 심방세동에서의 뇌졸중 예방,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의 2차 정맥혈전색전증 예방 등이 현재 기대되는 자렐토의 미래 적응증이다.
이와 관련해 자렐토는 다양한 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6만 명 이상의 환자들이 자렐토의 임상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다양한 잠재적 적응증, 폭넓은 임상 연구야말로 차세대 블록버스터로 주목 받고 있는 자렐토의 오늘이자 미래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재미있는 약 이야기] 효도수술 후 자칫 불효할 수 있는 불상사를 막아주는 약(?)
입력 2010-08-26 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