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애주 의원 “저출산은 경제적 요인 외에 사회적 변화로 인한 늦은 결혼과 출산 영향…가치관 재정립 필요”
[쿠키 건강] 최근 낮은 출산율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불임 환자와 자연유산 환자는 상당히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한나라당 이애주 국회의원(비례대표·복지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먼저 2005년에 총 5만6,300건에 그치던 자연유산 건강보험 진료환자 수는 2009년에 6만4642명으로 증가해 4년 사이에 14.8%의 증가세를 보였다.
진료비는 더 큰 폭으로 증가해 2005년 약 32억원에서 2009년 약 46억원으로 46% 이상 늘었다.
특히 30~40대의 자연유산이 큰폭으로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30대 여성의 자연유산 환자 수는 27.5% 늘었고, 40대의 경우 42.4% 늘었다. 진료비는 각각 약 62.7%와 81.2%로 더욱 크게 증가했다.
한편 불임 치료를 위해 의료기관을 방문한 건강보험 환자는 2005년에 15만 4689명에서 4년 후인 2009년 19만3607명으로 약 25%가 증가했으며, 총진료비는 약 146억원에서 223억원으로 53% 가까이 늘었다.
이 의원은 “사회적으로 낮은 출산율(합계출산율 2009년 기준 1.15명)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에서도 자연유산과 불임이 증가하고 있는 것은 결혼과 출산 연령이 늦어지는 사회현상이 가장 커다란 원인”이라며 “출산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를 위한 교육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4년새 불임환자 25%…30대 자연유산 27% 증가
입력 2010-08-13 1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