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예산정책처, “사업 홍보 및 영양관리 교육 강화 절실”
[쿠키 건강]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관리강화 사업이 우수판매업소 지정실적 저조, 전담관리원 지도점검 내용 부실,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저조 등으로 사업목적에 비해 사업의 효과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예산정책처에서 최근 발간한 ‘2009회계연도 결산중점분석’보고서에 따르면 6305명의 전담관리원이 얼니이 식품안전 보호구역에서 식품조리·진열·판매업소를 지도·점검했다고 하지만 유통기한 단속, 위생적 취급위반, 종사자 건강진단 미필 등 기존의 불량식품 단속정도에 그쳤다.
또 전국 1만1310개 학교 중 9053개 학교 주변에 어린이 식품안전 보호구역을 지정했으나 이 구역 내 우수판매업소 지정은 단지 306개 업체에 그치고, 실제 고열량·저영양식품의 가공판매업소는 지정 후 판매에 직접적 영향을 받기에 지정을 회피하는 경우가 다소 많았다.
이에 국회 예산정책처는 “어린이 먹을거리 안전관리강화 사업에 대한 홍보와 어린이 식생활 안전 및 영양관리 교육의 강화, 전담관리원의 활동내용 개선, 우수판매업체 지정 확대방안 마련 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허울뿐인 어린이 먹을거리 사업…효과 ‘미흡’
입력 2010-07-26 1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