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차병원그룹 차바이오앤디오스텍(차바이오앤)은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용해 요실금을 치료하는 조성물에 대해 특허(특허 등록번호: 10-0757265)를 획득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에 특허 받은 제대혈 줄기세포 이용 요실금을 치료하는 조성물 건은 지난 6월 SCI에 등재돼 있는 대한의학회 공식학술지인 ‘JKMS(Journal of Korean Medical Scinece)’ 6월호에 게재된 바 있다
이에 따라 차바이오앤측은 향후 상용화를 위한 연구에 가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요실금은 전체 여성의 10~40%에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특히 40~50대 이후 중년 여성의 40~50%에서 발병한다. 그 중 복압의 증가로 인해 무의식 중에 소변이 새는 ‘복압성 요실금’은 전체 요실금 환자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그러나 기존에 학계에서는 여러 형태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복압성 요실금을 완벽하게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지 못한 상태였다.
이에 최근에는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가 요실금 치료의 새로운 대안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면역거부반응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자 본인의 근육에서 줄기세포를 채취할 경우, 근육 채취 과정에서 출혈 및 감염의 우려가 있고, 줄기세포가 신체 연령이 높아질수록 효율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요실금 환자가 많은 40~50대 여성에게는 치료상 적용하기에 한계점이 많았다.
차바이오앤에 따르면 제대혈 줄기세포는 쉽게 채취할 수 있고 이식도 간편해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치료에 있어서도 큰 효과를 보였다. 쥐 모델에 인간 제대혈 줄기세포를 이식한 전임상시험 결과, 이식 4주 후 요누출압 측정을 통해 요도 괄약근 기능이 향상됐고, 조직학적으로도 요도 괄약근이 복원됐음을 확인했다.
또한 복압성 요실금 환자에게 제대혈줄기세포 이식치료 후 12개월을 추적 관찰한 결과, 환자 만족도 검사에서 호전됨을 경험한 비율이 70%를 넘었을 뿐만 아니라 합병증도 없어, 요실금 치료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차바이오앤 관계자는 “제대혈 줄기세포는 기존 성체줄기세포의 한계점 극복할 뿐 아니라 채취 및 이식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면서 “요실금 치료의 효과적인 방법으로 각광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
차바이오앤, 제대혈 줄기세포 요실금 치료제 특허 획득
입력 2010-07-26 1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