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으로 짜고, 약바르고… 섣부른 자가치료, 여드름 자국과 흉터발생 주원인
[쿠키 건강] 무더운 날씨와 습한 기운, 땀과 피지분비가 활발해져 여드름 관리에도 비상이다. 이런 환경에서는 여드름이 새로 생기기도 쉽지만 이미 난 여드름을 자칫 잘못 관리했다간 2차 감염과 흉터 등으로 번질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이미 생긴 여드름의 경우 단순한 청결관리만으로는 쉽게 호전되지 않아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덥고 습한 환경에서는 작은 자극에도 여드름의 염증반응이 악화되기 쉽고, 무더위와 열대야 등으로 인한 수면부족, 이미 생긴 여드름으로 인한 스트레스도 여드름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의 주범이다.
강원형 큐 피부과 원장은 “대부분 여드름 환자의 경우 습관적으로 손을 댔다가 악화된 경우가 많다”며 “특히 집에서 손이나 기구를 이용해 여드름을 짜거나 본인 상태에 맞지 않는 연고제를 임의로 발랐다가는 자국이나 흉터를 남길 수도 있는 만큼 주의가 필요하다” 고 당부했다.
◇여름철, 더운 날씨에 피부노폐물도 많아 여드름 기승
더워진 날씨에 땀·피지 등 피부노폐물과 대기 중 먼지 등이 엉겨 붙어 여드름이 생기기 쉽다. 특히 여름철에는 화장품이나 자외선차단제 등을 말끔히 씻어내지 않을 경우 모공이 막혀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간혹 여드름이 ‘잘 익어’ 손으로 눌러 짜내고 싶은 충동을 느끼기도 하고 실제로 손이나 면봉, 심지어는 볼펜 등과 같은 비위생적인 도구를 이용해 짜내는 경우도 많다. 피지가 피부 표면으로 빠져 나오지 못해 생긴 흰색 혹은 까만 면포상태와 같이, 비교적 초기 단계의 여드름의 경우 청결한 상태에서 짜내면 흉터를 남기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면포에 이미 염증이 생겨 붉게 변했거나 속으로 단단하게 만져지는 결절 상태의 여드름, 피부 속으로 염증을 동반해 크고 붉어진 낭포가 형성된 여드름 등은 손으로 눌러 짜다가 심한 자국과 흉터를 남길 수 있다.
보통 여드름이 번지기 시작하면 미용상의 문제로 심리적으로 위축돼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도 많은데, 이 때문에 여드름이 더 악화되고 스트레스도 덩달아 높아지는 악순환을 겪을 수 있다.
◇섣부른 자가치료, 오히려 상태 악화시키고 흉터 키울 수도
평소 청결한 피부 관리로 여드름이 번지고 악화되는 것을 막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지만, 이미 여드름이 붉은 자국이나 흉터로 진행되고 있다면 보다 전문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붉게 물든 자국의 경우 여드름치료와 함께 디로사와 같은 혈관성병변치료 레이저를 이용해 확장된 모세혈관을 파괴해 치료할 수 있다. 시술시간은 여드름이 분포된 면적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0~30분정도 소요되고 2~3주정도 지나면서 서서히 효과가 나타난다. 특히 여드름 붉음증 치료와 함께 피부 속 콜라겐을 재합성 해주기 때문에 피부탄력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이미 흉터로 진행된 경우라면 피부를 속부터 재생시켜 깊게 패인 부위에 새 살이 돋게 하는 치료법을 주로 사용한다. 프락셀Ⅱ제나 등의 레이저나 MTS더마롤러 등과 같은 미세한 침을 이용해 피부에 미세하고 많은 구멍을 뚫어 콜라겐의 생성을 유도해 피부를 재생시키는 시술을 받을 수 있다. 최근에는 자신의 혈소판을 채취해 치료부위에 직접 주사하는 PRP(자가혈피부재생술) 시술을 통해 상처를 치료하고 세포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강원형 원장은 “여드름 자국이나 흉터치료 시술 후 지속적인 생활습관 관리도 중요하다”며 “외출 시 자외선차단은 물론 흡연이나 음주 등을 삼가고 규칙적인 생활습관으로 정신적·신체적 안정성을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
[Tip. 여름철, 올바른 여드름 자가관리법]
-외출 후에는 이중세안으로 모공 속 노폐물까지 제거
-썬크림·모자 등을 이용해 자외선 차단 철저
-흡연과 음주는 염증반응 일으켜 여드름 악화의 주범
-열대야로 인한 수면부족, 스트레스 받지 않도록 주의
-규칙적인 생활과 과일·야채 위주의 식습관 중요
무더위에 더 극성인 여드름, 잘못 손댔다간 흉터
입력 2010-07-13 1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