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한 리베이트 처벌 의지에 국내 제약업계 ‘패닉’

입력 2010-07-13 08:39
[쿠키 건강] 정부가 불법 리베이트 제공 및 수수를 금지하기 위해 범정부차원의 협조체제를 구축하기로 했다는 발표에 국내 제약업계가 ‘패닉’ 상태에 빠졌다.

지난 12일 보건복지부는 브리핑을 통해 법무부, 검찰청, 공정위 등과 공조해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제약회사에 강력한 패널티를 부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런 강력한 복지부의 브리핑은 오는 11월부터 시행되는 쌍벌죄 시행이전 몇 몇 제약회사에서 불법 리베이트를 제공하고 있다는 첩보를 인지, 경고성 차원에서 단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한 국내 제약회사 관계자는 “12일 이후부터 리베이트를 제공하는 제약회사를 전방위적으로 압박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 같다”며 “최근 업계 내에서도 쌍벌죄 시행 이전에 시장 선점을 위해 무리수를 두고 있는 몇 몇 업체가 있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는 데 이것을 복지부가 인지해 강력한 경고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제약업계 내에서도 리베이트 척결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며 “하지만 복지부의 발표 중 리베이트를 제공하다 걸린 제약회사에 대해 과거 리베이트까지 소급적용을 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소급 적용이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기간을 의미하는 건지까지도 알려 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든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중소제약회사 대표는 “최근 정부의 강력한 리베이트 근절 의지는 바람직하지만 과거 영업방식을 하루 아침에 바꾸는 것은 무리가 있다. 시장의 안정화를 위해 좀 더 순차적인 조치가 이뤄졌으면 한다”며 “이런 분위기라면 솔직히 일부 사업부문을 접고 싶은 심정”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올해에도 광주, 대전, 부산 철원 지역 등에서 리베이트를 제공한 혐의로 상당수 제약회사들이 경찰의 수사를 받아 이번 복지부의 발표가 이들 해당 제약회사에 어떤 조치가 미칠지도 관심을 모으고 있는 상황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