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인모를 자연식중독 환자 급증

입력 2010-07-12 10:12

손숙미 의원, 최근 5년간 식중독 ‘원인불명’ 44%…지역별 체계적인 관리 필요

[쿠키 건강] 최근 5년간 식중독 발생 10건 중 4건 이상의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고, 전체 식중독 환자 감소추세에도 불구하고 세균과 자연독으로 인한 식중독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손숙미(한나라당·비례대표) 국회 보건복지위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5년간 식중독 발병 원인 및 건수’를 분석한 결과 전체 식중독 환자수는 2006년을 기준으로 조금씩 줄어들고 있지만 식중독발생 원인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경우가 2005년 24%에서 점차 증가해 08년과 09년에는 절반 가까운 44%에 달했다.

특히 캠피로박터제주니(5배 이상), 황색포도상구균, 병원성 대장균 등의 식중독 원인이 증가했으며 자연독으로 인한 식중독도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살펴봐도 전체적으로 줄었으나, 서울, 경남 지역 식중독 환자가 3배이상 급증했고 광주, 대전이 2배, 충남지역 또한 증가하여 지역적 편차가 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손 의원은 “절반가까운 식중독 사고가 원인불명으로 처리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관련부처는 전체 환자수 감소에 연연하지 말고 세균과 자연독으로 인한 식중독이 증가한 만큼 이 부분에 대한 철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손 의원은 또 “식중독 발생에 있어 지역별 차이가 너무 크다”며 “지자체와 면밀한 협조를 통한 식중독 억제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