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이중맹검 시험 결과, 엽산도 마찬가지
[쿠키 건강] 과거 심근경색을 경험한 환자에는 비타민B12와 엽산(비타민B군)을 이용하는 호모시스테인 저하요법을 해도 혈관질환 발생을 억제시키지 못한다고 영국 연구팀이 JAMA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여러 관찰연구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치가 높으면 심혈관질환이 발병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또 2002년에 실시된 메타분석에서는 혈중호모시스테인치가 25% 낮아지면 관상동맥 위험은 11% 감소, 뇌졸중 위험은 19%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이후 7건의 대규모 RT에서 폐쇄성 혈관질환에 대한 호모시스테인 저하요법의 전향적 검토가 실시됐지만 심혈관위험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증명한 시험은 하나도 없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한다.
이번 대규모 위약 대조 이중맹검 RCT를 통해 이 시험에서 검토하게 된 이유이기도 하다.
연구 대상은 1998~2008년에 영국의 전문병원(secondary care hospital)에 입원한 심근경색 기왕력환자 1만 2064례.
18~80세로 심근경색 기왕력만 가진 환자는 48%, 나머지는 기타 관상동맥질환과 혈관질환, 당뇨병 등을 함께 앓고 있었다. 남녀비는 83%과 17%.
이번 시험은 심바스타틴 1일 20mg, 80mg 투여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검토하는 2×2 팩토리얼로 디자인됐으며 이번 연구에서는 비타민B12(하루 1mg)+엽산(하루 2mg) 투여에 대해서만 분석됐다.
투여량은 혈중호모시스테인치를 베이스라인에서 평균치보다 28% 낮추는(중앙치 3.8μmol/L) 용량이었다.
6.7년(중앙치)의 추적기간 결과, 주요 혈관질환 발생률은 비타민B투여군(6033례) 25.5%(1537례), 위약군 24.8%(6031례 중 1493례)로 양쪽군에 유의차는 없었다[위험비(RR) 1.04 95%CI 0.97~1.12,P=0.28].
기타 질환 발생률에서도 비타민B 투여가 평가 항목에 미치는 확실한 효과는 없었다(이하 표기는 각각 비타민B투여군, 위약군 순).
주요 관상동맥질환(20.4% vs. 19.6%,RR 1.05,95%CI 0.97~1.13), 뇌졸중(4.5% vs. 4.4%,RR 1.02,95%CI 0.86~1.21), 관상동맥 이외의 혈행재건술(3.0% vs. 2.5%,95%CI 0.95~1.46).
지금까지 일부 시험에서 비타민B군 보충요법으로 암 위험이 증가한다고 지적됐었지만 이번 시험에서 전체 암 위험은 증가하지 않았다(11.2% vs. 10.6%,RR 1.07,95%CI 0.96~1.19).
연구팀은 "기존 시험처럼 이번 시험에서도 심혈관질환에 좋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지만 암과 기타 주요 건강상태에 유해한 영향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나타났다"고 평가하고 있다.
연구팀은 또 심혈관질환의 예방에는 비타민B군 보충요법보다는 이미 효과가 입증된 아스피린이나 스타틴, 강압제 복용과 금연 등의 생활습관 개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 / 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jkim30@medical-tribune.co.kr
심근경색예방에 비타민B12 효과없어
입력 2010-06-29 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