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관절염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오면 귀신같이 맞춘다. 의학적으로 날씨에 따라 관절이 더 아프다고 증명된 것은 없지만 관절 조직이 기압과 압력, 그리고 습도에 더 민감한 것은 사실이다.
정상관절이야 날씨변화에 아무 문제가 없지만 관절염 환자의 경우에는 조직이 예민해져 날이 흐리거나 기압의 변동이 심할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것이다. 평소에는 외부 대기환경과 관절 속의 압력의 평형을 이루는데 날씨가 흐리거나 장마철과 같이 외부환경이 저기압이 되면 평형을 유지하던 관절 내 압력이 상승해서 신경을 압박, 통증이 생기는 것이다.
통증이 심하면 온찜질…열감, 부종이 있으면 냉찜질이 좋아
장마철 관절통에는 특별한 방법이 없다. 다만 무리한 활동을 자제하고 꾸준한 운동습관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관절에 부담이 적은 체조, 수영, 고정식 자전거 타기, 걷기 등의 적당한 운동은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피로감을 호전시킨다. 심폐기능도 향상되고 뼈도 튼튼해진다.
또 근력이 강화돼 관절이 유연해지는 것도 관절염 환자에게 꾸준한 운동이 좋은 이유 중 하나이다. 장마철이 되면 80~90%까지 올라가는 습도를 50%내로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에어컨, 선풍기의 찬바람도 주의한다. 소매가 긴 옷을 입거나 무릎덮개를 사용해 관절에 직접 찬바람이 쏘이지 않도록 한다.
관절통에는 찜질도 도움이 되는데 수시로 또는 아플 때마다 따뜻한 수건으로 온찜질을 해주면 관절 혈액 순환을 도와 근육을 이완시키고 따뜻한 물에 관절을 담그고 몸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통증과 함께 열감, 부종이 생기면 냉찜질을 해주어야 한다. 외출로 관절이 붓고 뜨거워지면 심한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아이스팩 등을 이용해 통증과 근육 강직을 완화시키는 것이 좋다.
다만 냉기는 관절에 좋지 않으므로 지나친 냉방은 독이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무엇보다 곧 장마철이라 통증이 심해질 것을 미리 걱정하지 말고 마음을 편안하게 갖는 것이 좋다. 날씨변화는 일시적인 만큼 심리적인 안정만으로도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처럼 통증을 줄일 수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도움말: 경희의료원 류마티스내과 홍승재 교수>
장마철에 왜 통증이 심해질까?
입력 2010-06-17 1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