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양창호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외래교수 (現 신내부부치과원장)>
[쿠키 건강칼럼] 이전엔 치아가 빠지면 양쪽 인접치 2개를 삭제하여 연결해 씌우는 방법으로 회복을 했습니다. 이렇게 삭제를 한 치아는 삭제하기 전보다 더 정성껏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 되고 관리에 소홀하면 2차우식이 생겨서 치아 상실로 이행하는 상황이 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임플란트 술식의 등장으로 치아를 컨디션 좋은 상태로 보존 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긴 것이죠.
◇치아가 흔들리면 임플란트를 해야 하나요?
30세 이전은 치아우식증이 빈발하고 30세 이후는 치주염이 빈발합니다. 그래서 성인이 되면 치아가 흔들리는 것을 더 많이 경험하게 됩니다. 하지만 치아가 흔들리는 것은 치주염 이외도 일시적인 충격이나 이를 악무는 습관 등의 다른 원인 때문에 생길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흔들린다는 하나의 사실보다는 흔들리는 원인과 현재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치료의 첫 단계가 됩니다.
◇뽑고 난 치아에는 임플란트가 제일 좋나요?
치아는 언제 뽑는 게 좋을까? 간략하게는 2가지로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음식을 씹는 기능을 유지 할 수 없을 때. 그리고 치아에 생긴 병이 옆 치아나 전신적인 몸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을 때 입니다. 치아가 하나만 나빠 질 때도 있고 아니면 그 부근 전체가 비슷하게 나빠지면서 그 와중에 하나가 더 나빠지는 경우도 생깁니다. 그런데 임플란트는 뼈 속에 움직임 없이 서 있게 되는데 이런 경우 임플란트 혼자는 튼튼하지만 주변의 상황과 조화가 맞지 않아서 기대만큼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때도 있게 됩니다. 그래서 임플란트가 효과적인 방법이긴 하지만 상실된 치아의 주변의 상태를 고려하는 것이 상황에 맞는 적절한 치료선택에 우선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임플란트는 최선의 방법이 아니라 치아회복 방법 중 하나라는 것이지요.
◇틀니보다 임플란트가 좋나요?
식사를 하는 것은 틀니보다 임플란트가 더 든든하고 자기치아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치아가 상실되고 나면 뼈도 녹아서 줄어듭니다. 임플란트는 뼈에 심는 것이기에 뼈의 상태에 좌우 됩니다. 골격의 상태에 따라서 식립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해서 치아를 회복해도 자연스러운 정도는 골격의 상태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지금 틀니로 생활을 잘 하시는 분이라면 그냥 그대로가 좋지 않을까요?
이 글은 양창호 서울대 치과대학 외래교수가 직접 작성했습니다. 외부 칼럼은 본보의 취지와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알쏭달쏭 임플란트③] 과연 치과임플란트 최선책일까?
입력 2010-05-21 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