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단·심평원, ‘국내외 제네릭 약가비교연구’ 결과 발표
[쿠키 건강] 독일 등 15개국과 우리나라의 카피약 가격을 비교한 결과, 이들 나라보다 국내 카피약 가격이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지난 2009년 12월 공동으로 발주한 ‘국내외 제네릭 약가비교연구’에 대한 용역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제네릭 의약품의 상대가격은 약 70%로 나타났으며(성분별 산술평균가 기준 69.6%, 가중평균가 기준 72.5%), 우리나라보다 제네릭 상대가격이 낮은 국가는 7~9개국이었다.
우리나라의 비교대상 의약품 총사용량 대비 제네릭 의약품의 점유율은 평균 64.5% 수준이었으며, 외국은 19.6~88.1%로 나타났고, 우리나라보다 제네릭 점유율이 높은 국가는 6개국이었다.
연구에서는 제네릭 의약품의 절대적인 가격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각 의약품 성분별 국내 제네릭 가격 대비 외국 제네릭 가격 비율의 평균’과 ‘가격지수’를 산출했다.
먼저 각 의약품 성분별 국내 제네릭 가격 대비 외국 제네릭 가격 비율의 평균을 산출한 결과, 일반환율(USD) 기준으로는 4개국을 제외하면 우리나라 가격이 낮았고, 구매력지수(PPP) 기준으로는 우리나라 가격이 높게 나타났다.
각 성분의 사용량까지 감안해 종합적인 가격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성분별 가중평균가 기준으로 가격지수를 산출한 결과, 우리나라 제네릭 약가 수준은 대체로 비교국가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자는 사용량을 가중치로 둔 약가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를 동일성분 제네릭 제품 중 고가 제네릭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으로 분석하면서, 제네릭 의약품의 품질이 확보된다는 전제 하에 저렴한 제네릭 사용을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편, 이번 연구(연구책임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권순만 교수)는 우리나라 제네릭 의약품의 가격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였으며, 전문가 및 이해당사자 10인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위원장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이규식 교수)의 6차례 자문과 심의를 거쳐 진행됐다.
비교대상 국가로는 신뢰할 수 있는 가격이 확보되고, 해당국가의 보험 및 의약품 관리제도, 보건·제약산업에 대한 통찰이 가능한 15개 국가를 선정했다.
자료는 우리나라와 15개국 약가·사용량을 비교할 수 있는 단일한 자료원인 IMS Health의 자료를 사용했다. IMS Health는 100개국 이상에서 제약 및 의료 산업을 대상으로 market intelligence를 제공하고 있는 회사이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국산 카피약 가격, 미국보다도 비싸다
입력 2010-05-19 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