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들 뿔난 목소리에 제약협회 말 바꾸기

입력 2010-05-07 08:56
제약협회, 쌍벌제 선시행 공식 표명한적 없다?…문경태 부회장, 쌍벌제 동시 시행 주장

[쿠키 건강] 제약협회는 리베이트 관련 쌍벌제 선시행을 공식 표면한 바 없다고 밝혔지만 이전 회장단에서 공식 행사, 관련 전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쌍벌제와 저가구매인센티브제를 동시 시행해야 한다고 강하게 강조한 바가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이는 최근 쌍벌제의 국회 통과로 의사들이 강하게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데에 대한 책임을 슬쩍 회피하기 위한 입장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6일 한국제약협회는 저가구매제에 앞서 쌍벌제를 선시행하자는 것이 제약협회의 의견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다고 해명하고, 일부 제약사 대표들의 의견이지 협회의 공식적인 의견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쌍벌제와 관련해서는 직접적인 이해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에 공식적인 의견을 내놓을수는 없다는 입장이며 이 사안에 대해서는 제약사별로 큰 의견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윤석근 회장직무대행은 “제약협회에는 현재 190여개 회원사가 있으며 쌍벌제 등 어떤 사안에 대해 의견이 통일되지 않으면 공식적인 입장 표명이라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어 “쌍벌제에 대해 개별적인 의견이 외부적으로 전달된것 같은데 오해는 없어야 한다. 또 이같은 협회의 입장은 특정 집단을 향한 눈치보기도 아니고 표정관리를 하기 위해서도 아니다”라고 못박았다.

일부에서는 리베이트 근절을 위해 일부 쌍벌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실질적으로는 ‘무리’라고 생각하는 제약사들도 많다는 것.

윤 회장은 “아무 준비없이 쌍벌제를 급하게 도입하는 것은 무리이며 진료 행위 및 의료수가 현실화가 이뤄지지 않은 여건속에서 쌍벌제 도입은 어려움이 따를수밖에 없다. 수가현실화가 선행돼야 한다”고 의료계 주장에 힘을 실어줬다.

그는 “의료환경 여건이 갖춰져있지 않고 기본 환경이 뒷받침돼 있지 않은 상태에서 쌍벌제가 무조건 시행된다면 또다른 문제를 야기시킬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는 지난 3월 제약협회 임원진 사퇴 이전과는 상이하게 다른 입장이다.

윤석근 회장 직무대행 이전 제약협회 임원진들은 복지부의 저가구매인센티브제도 시행을 늦추기 위해 여러가지 노력을 했지만 제도 시행을 막을 수는 없었다. 이에 제약협회에서 제기한 사안 중 하나가 리베이트를 수수한 의료 관계자에게도 처벌이 있어야 한다는 쌍벌제 동시 시행을 주장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결국 제약협회쪽에서 제기했던 쌍벌제가 국회를 통과하면서 의사들 사이에서 제약회사들이 쌍벌제 시행을 주도했다는 루머가 나돌아 일부 의사 단체에서 제약회사 영업사원 출입금지를 시키는 등 제약회사에 대한 불만 표출이 가중되고 있다.

이처럼 의사들의 불만 표출이 제약회사로 번지자 제약협회는 쌍벌제 선시행을 공식적으로 주장한 바가 없다며 발뺌을 하는 모양새를 보였다.

이와 관련해 한 국내 제약사 관계자는 “업계 전체를 대표하는 단체인 제약협회가 전면에 나서 해명을 해도 모자랄 판에 협회만 발을 빼는 모양새의 입장을 밝히는 것이 오히려 회원사들을 어렵게 만드는 것”이라며 “회비 인상에만 급급할게 아니라 협회로써의 역할을 다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