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석 떼 낸 자리 시리고 출혈 있다고 칫솔질 안 하면 또 치석 들러붙어
[쿠키 건강] #최근 금연을 시작한 직장인 정모(40·서울 종로구) 씨는 심한 입냄새에 시달려야만 했다. 금단현상 때문에 입 안이 텁텁하고 얘기할 때마다 역한 냄새가 났던 것. 입냄새를 없애기 위해 김 씨는 소금물과 구강 세정제를 이용, 가글을 시도해봤지만 입냄새는 좀처럼 가시질 않았다. 그래서 김 씨는 구강검진도 받을 겸 치과를 내원해 스케일링을 받기로 했다. 이후 치과의사 검진 결과 입냄새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충치가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평소 충치로 인한 입냄새를 의식하지 못 하다가 갑작스레 금연하면 입안이 텁텁하고 입냄새가 나기도 한다는 소견을 받았다. 이에 김 씨는 입안 전체를 스케일링하고 치아에 노출된 충치도 치료해 입속 냄새와 텁텁함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하지만 문제는 스케일링 후부터였다. 개운해진 입안 관리에 소홀하다 결국 또 다시 입냄새와 텁텁함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다.
김 씨처럼 치아 스케일링(치석제거술) 후 개운해진 느낌에 평소보다 칫솔질 등 치아관리에 소홀했다간 떼 낸 치석자리에 음식물이 또 다시 붙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치석제거(scaling) 직후에는 치석을 떼 낸 자리에 일시적으로 시림 현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치면에는 미세한 거친 표면이 형성된다. 또 거칠어진 표면과 공간에는 새로운 치면세균막이 쉽게 형성될 수 있어 이로 인한 시린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치석이 많은 사람일수록 치석제거 후 출혈과 이 흔들림을 느끼는 경우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때문에 스케일링 후 칫솔질을 하면 출혈과 흔들리는 느낌이 증가해 치석제거 전보다 오히려 부드럽게 닦는 환자가 있는데 이럴 경우 오히려 음식물 찌꺼기 등이 치석을 떼 낸 자리에 쉽게 재부착 될 수 있으므로 치석제거 후에도 더욱 구강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송현정 마산대학 치위생과 교수는 “간혹 스케일링 후 잇몸에서 피가 나고 아프기 때문에 칫솔질을 안 하거나 대충하는 경향이 대부분인데 이럴 경우 또 다시 음식물이 들러붙어 치석이 돼 충치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스케일링했다고 치아관리에 방심하면 안 된다”며 “스케일링 후 아프지만 평소보다 칫솔질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또 “스케일링 후 칫솔질 시 이와 잇몸사이를 촘촘히 닦아야 하며 무조건 힘줘 닦을 것이 아니라 치아와 잇몸 구석까지 칫솔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치과에서는 6개월마다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하지만 칫솔질이 잘 안 되는 사람의 경우 1개월 내지 3개월,, 칫솔질이 잘 되는 사람의 경우 1년 간격으로 스케일링 받을 것을 권고하고 있다.
스케일링은 잇몸질환을 일으키는 주원인인 치태(프라그)와 같은 연성 부착물과 치석과 같은 경성부착물을 제거하고, 치아 표면을 매끈하고 깨끗하게 해 주는 치료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치과의사와 치과위생사만 할 수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스케일링했다고 방심했다간 치아 망칠 수도
입력 2010-05-03 1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