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도 발생 증가 조짐, 손씻기등 개인위생관리 중요”
[쿠키 건강] 최근 중국의 수족구병 유행과 관련, 보건당국이 해당지역 여행자와 영유아를 중심으로 개인 위생관리 등 주의를 당부했다.
15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최근 중국 광둥(廣東)성, 광시좡주(廣西壯族)자치구, 후난(湖南)성을 비롯한 전역에서 수족구병 환자 19만명이 확인돼 이 가운데 94명이 사망했다. 특히 영유아의 사망률이 높았다.
국내의 경우도 전국 200개 표본의료기관이 참여한 수족구병 소아전염병표본감시 결과, 제14주차(3.28~4.3) 환자 분율이 0.122%(169명)로 지난주(13주차) 0.116%(157명)에 이어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지난해에 비해 증가세가 이른 시기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는 게 보건당국의 설명이다.
지역적으로는 제주 0.827%(11명), 울산 0.477%(33명), 광주 0.437%(15명) 순으로 많이 발생했으며, 연령별로는 1~4세에서 발생이 많았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본격적인 유행시기인 봄철에 접어들면서 특히 집단생활을 하는 유치원, 어린이집 및 영유아 보육시설에서의 개인위생 준수가 중요하다”며 “특히 최근에 유행하는 EV71형에 감염될 경우, 뇌염 등 합병증이 나타나기도 하는 만큼 철저한 손씻기 등 개인 위생관리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수족구병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의 대변이나 호흡기 분비물(침, 가래, 콧물)의 직접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일단 감염되면 미열과 함께, 혀, 잇몸, 뺨의 안쪽 점막과 손, 발 등에 빨갛게 선이 둘린 쌀알 크기의 수포성 발진이 생긴다.
발진은 1주일정도 지나면 대부분 호전되지만, 엔테로바이러스71 등의 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드물지만 무균성수막염이나 뇌염 등 신경계합병증이 발생해 사망할 수도 있다. 면역체계가 아직 발달되지 않은 신생아의 경우 특히 주의해야 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
中수족구병 유행… 보건당국, 주의 당부
입력 2010-04-15 15: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