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2년부터 2008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빈혈 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철분결핍성 빈혈질환’의 실진료환자수가 2002년 18만명에서 2005년 24만5천명, 2008년 31만6천명으로 나타나, 최근 7년 동안 1.75배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2002년 386명에서 2008년 658명인 1.7배 증가하였으며, 특히 9세 이하 연령의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2002년 243명에서 2008년 943명으로 3.9배 증가했다.
연령대별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80대 이상이 1.9배(2002년 481명 → 2008년 911명), 40대 1.7배(2002년 543명 → 2008년 943명), 70대 1.6배(2002년 479명 → 2008년 759명)순으로 증가했다.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의 증가폭이 가장 큰 9세 이하의 경우 1세가 7.2배(2002년 666명→2008년 4809명)로 두드러지게 증가했으며, 2세 6.8배(2002년 221명→2008년 1,500명), 3세 3.9배(2002년 171명→2008년 672명), 4세 2.4배(2002년 201명→2008년 476명), 5세 2.0배(2002년 215명→2008년 440명)순으로 나타났다.
10만명당 성별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남자 259명, 여자 1063명으로 여자가 남자보다 4.1배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10만명당 여자 실진료환자는 10대 584명, 20대 889명, 30대 1402명, 40대 1792명으로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50대 이후에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0만명당 9세 이하 남자 실진료환자는 1006명으로 여자 875명에 비해 1.1배 높게 나타났으며, 전연령대에 있어 가장 높은 10만명당 남자 실진료환자수를 나타냈다.
10만명당 남자 실진료환자수가 가장 많은 9세 이하의 경우 1세 남자 실진료환자수가 5239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2세 1640명, 3세 593명 순으로 나타났다.
9세 이하 연령 특히 1세의 철분결핍성 빈혈 실진료환자수의 증가와 관련해 일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김명아 교수는 “생후 6개월까지는 태반을 통해 공급받았던 저장철로도 충분하지만, 6개월 이후에는 저장철이 고갈되는 반면, 빠른 성장으로 인한 철분 요구량이 증가되므로 이때 이유식의 시작이 늦거나 철분 섭취가 부족할 경우, 철분결핍성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며 “영유아의 철분결핍성 빈혈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6개월 이상 모유수유를 하고, 시판우유(생우유)의 정기적인 사용은 9~12개월까지 늦출 것을 권장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부모들이 아이들의 철분결핍성 빈혈을 예방하기 위해 “생후 4~6개월 된 영유아에게는 이유식이나 고형식을 줄 때 철분과 엽산이 강화된 음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미숙아의 경우에는 약 1개월부터 4~6개월 동안 철분의 보조투여를 하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9세 이하 ‘빈혈’ 최근 7년새 3.9배 증가…그 이유는?
입력 2010-04-11 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