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최근 5년간 ‘결막염’에 대한 심사결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결막염의 진료인원 및 총 진료비는 각각 연평균 3.6%, 5.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진료인원은 2009년 407만명으로, 2005년 356만명과 비해 51만명 증가, 연평균 약 12만8천명씩 증가했다.
최근 5년간의 진료인원을 월별(1월~6월)로 분석한 결과 결막염은 본격적인 황사가 시작되는 3~4월에 큰 폭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분석결과 최근 5년간 여성이 남성보다 약 1.4배 더 많았으며, 연평균 증가율은 남성이 3.2%, 여성이 3.8%로 여성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로 결막염은 30세미만의 젊은 연령대에서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을 기준으로 0~9세가 20.7%로 가장 높았으며, 10~19세가 14.6%, 20~29세가 10.9%로, 30세미만의 연령구간에서 전체의 46.2%를 차지했다.
0~9세에서는 남성의 진료인원이 더 많았으나, 10세이상의 전 연령구간에서 여성이 많았으며, 특히 20~29세에서는 여성이 남성대비 2.4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의 여성이 남성에 비해 결막염이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각종 눈 화장품과 콘텍트렌즈, 인조 속눈썹, 쌍꺼풀 테이프 등 미용과 관련된 용품의 사용이 원인인 것으로 파악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결막염 환자, 최근 5년간 3~4월 급증
입력 2010-03-30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