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황사에는 세안이 최고 ‘예방법’… 수분공급, 자외선차단제 필수
[쿠키 건강] 봄볕에는 며느리를 내보내고, 가을볕에는 딸을 내보낸다고 했던가? 올 봄에 며느리가 되어야 할 예비 신부들에게는 가장 끔찍한 속담이 아닐 수 없다.
봄철에 흔히 나타나는 피부증상부터 알아보자. 봄에는 얼굴은 더 건조해지고, 피부가 울긋불긋해지고 가려워지는 사례들이 흔하다. 전에는 없었던 기미와 주근깨가 도드라져 나오기도 한다.
이같은 피부재앙을 몰고 오는 최고의 적은 황사다. 미세먼지가 거리는 물론 사무실, 집안 곳곳에서 피부를 위협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올해는 지난해 겨울 내린 눈이 빨리 녹으면서 황상의 발원지가 빠르게 건조해져 평년에 비해 대형 황사, 일명 ‘수퍼 황사’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자외선도 피부트러블을 주도한다. 겨울 동안 자외선에 대한 저항력이 약했던 피부가 갑작스럽게 늘어난 일조량에 반응을 보이는 현상이다. 기미와 주근깨가 늘어나고 색소침착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건조해진 피부를 관리해주지 않으면 주름이 늘어날 수도 있다.
가장 좋은 예방법은 세안이다. 외출 후 귀가하면 얼굴, 손, 귀까지 꼼꼼하게 이중세안을 해야 피부에 남아있는 황사를 지울 수 있다. 너무 뜨거운 물 보다는 미지근한 물이 좋다. 실내청소와 환기도 중요하다. 황사가 심하다는 이유로 창문을 닫아놓으면 오히려 실내에 황사가 가라앉아 피부를 직접적으로 자극한다.
피부의 수분공급에도 유의해야 한다. 너무 잦은 샤워를 피하고, 보습제를 충분히 발라야 한다. 이때 건조하다고 해서 화장품 사용량을 무작정 늘리면 여드름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유의하자. 자외선 차단제는 당연히 필수다.
하지만 바쁜 예비신부들에게는 피부관리까지 스스로 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피부가 평소에도 예민한 여성이라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다. 예비신부들에 맞춘 피부관리 프로그램들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스파진 인혜성 이사는 “사계절 중 봄에 결혼하는 신부들의 피부관리가 가장 어렵다. 환절기라 피부 트러블이 쉽게 생기고, 건조해진 피부는 신부가 생기 없어 보이기 쉽다”며 “더구나 올 봄 웨딩드레스가 노출이 많은 것이 유행인 만큼 전신관리에 신경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주호 기자 epi0212@kmib.co.kr
‘5월의 신부’들이 가장 싫어하는 속담은?
입력 2010-03-23 1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