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견병 걸린 야생너구리 만지지 마세요

입력 2010-03-19 13:54
[쿠키 건강] 겨울잠을 끝낸 야생너구리가 공수병(광견병) 전염 매개체로 알려지면서 주의가 요망되고 있다. 공수병에 걸린 너구리에게 사람이 물릴 경우 심하면 죽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공수병에 걸린 개나 너구리에게 물리면 사람도 그 병에 걸리게 된다. 등산과 같은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봄철에는 야생동물과의 접촉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공수병은 여우, 너구리, 늑대, 오소리, 박쥐 등이 전염 매개체가 되며 우리나라의 경우 사람을 전염시킬 수 있는 동물은 개와 너구리 두 종류로 밝혀져 있다.

사람에 전염되면 절반가량은 ‘물공포증’이란 것을 앓게 된다. 바이러스가 중추신경을 침범해, 음식을 삼키는 근육에 통증성 경련이 생겨 물을 삼키는 것에 고통을 느끼고 두려움이 생기는 증상이다.

공수병 발병초기에는 불안감, 두통, 발열, 권태감, 물린 부위의 감각이상 등 증상이 생긴다. 2~6일 이내에는 경련을 느끼거나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하며 숨을 쉬는 근육이 마비돼 무호흡이나 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병을 완전히 회복시키는 특별한 방법은 아직 없으며, 병원에서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 평균 생존일은 약 4일에 불과한 매우 위험한 질환이다.

공수병은 전 세계적으로 영국과 호주를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서 발생한다. 가장 많이 발생한 나라는 인도, 중국, 필리핀, 방글라데시, 미얀마,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국가로, 이 지역을 여행할 때 동물과의 접촉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동물과 접촉이 예상될 때는 백신을 접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병원에서 정해진 절차를 거치면 한국희귀의약품센터를 통해 백신을 구할 수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유진 기자 uletmesmile@kmib.co.kr

공수병 대처법

1. 애완용 개와 고양이에게 반드시 광견병 백신을 접종하고, 밖에 데리고 나갈 경우 애완동물이 야생동물과 싸우거나 물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야생동물을 만지는 것만으로는 감염되지 않지만, 사람이 물렸을 경우 즉시 비누로 상처 부위를 씻고 상처부위 소독 등 적절한 처치를 받는다.

3. 해당 동물이 광견병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있다면 광견병 면역 글로불린과 예방백신을 접종한다.

<도움말·중앙대병원 감염내과 정진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