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중독 우리 아이, 욕에 폭력까지?

입력 2010-03-08 07:37

컴퓨터 중독 등 사이버 정신병의 원인과 예방

[쿠키 건강] 사례1# 고2 남학생을 둔 김유철(50·가명)씨는 최근 아이가 밤새도록 컴퓨터에 매달려 게임, 인터넷, 채팅에 빠져 아침에는 일어나지 못해 결국 학교도 제대로 나가지 못하고 있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어쩌다 싸우고 싸워서 학교에 보내놓으면 온종일 학교에서는 자다가 오기가 일쑤다. 그러니 학교 성적이나 학업 성취는 말할 것도 없고 이제는 학교에서 퇴학을 당할 지경에 이르게 됐다. 이를 보다 못한 김씨가 컴퓨터를 치워버리자 아이는 갑자기 돌변해 대들며 욕하고 심지어 폭력을 휘둘렀다.

사례2# 중2 동석(가명)이는 학교 갔다가 오후3시에 집에 도착하면 밤9시까지 인터넷 게임을 한다. 가끔은 학교를 빠지고 집에서 컴퓨터만 하는 경우도 있다. 배고파도 컴퓨터, 친구가 만나자고 해도 컴퓨터다. 혹시나 컴퓨터가 고장이 나면 PC방에 가서 컴퓨터를 4시간씩 하기도 했고, 용돈이 없으면 부모님 돈을 훔치기도 했다. 결국 친구들과 놀 때도 컴퓨터 게임만 하게 되고 가족들과의 대화도 없어지게 됐다.

인터넷과 게임도 지나치면 병이 된다. 이로 인해 우울증, 사회공포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나 충동조절장애로 병원을 찾는 중독자가 늘고 있다.

◇인터넷 중독 원인…현실 불만족이 가장 커

인터넷에 중독되는 이유는 인터넷 사용자가 전화나 편지와는 달리 자신이 알지 못했던 새로운 사람과의 접촉을 쉽게 할 수 있고, 자신의 비언어적인 반응에 제한 없이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온라인상에서 위험부담 없이 자유롭게 성적인 만족을 얻을 수도 있다. 평소 공격적이지 않았던 사람 역시 온라인 게임을 통해 강력한 힘을 얻어 마음껏 공격성을 발휘할 수도 있다. 특히 현실에서 만족하지 못해 우울한 사람이나 친구관계가 좋지 않은 사람, 성격적으로 결함이 있는 사람 등의 경우 자신도 모르게 깊이 빠져드는 경향이 있다.

◇가족 등 주변인의 역할과 관심으로 예방 가능

그렇다면 인터넷 중독은 어떻게 예방 가능할까. 8일 안동현 한양대학교병원 정신과 교수에 따르면 아이에게서 인터넷 중독이 의심될 때 부모는 자녀가 컴퓨터와 인터넷을 사용할 때 옆에 있어줘야 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를 자녀들의 방이 아닌 가족 공동의 공간인 거실과 같은 곳에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자녀와 인터넷 사용 일지를 작성하고,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공유한다. 또한 자녀가 인터넷 상에서 금전거래를 하는지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음란물 차단 시스템을 설치하고 사용시간을 제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도 좋다. 자녀가 자주 다니는 PC방도 알아둬야 한다.

인터넷에 빠진 초기에 지각, 결석에 대한 가족의 태도가 확고해야 한다. 즉 학교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가 문제발생 당일에 이뤄져야 한다. 만일 학교 복귀가 단기간 내에 어렵다면 친구나 담임선생의 꾸준한 방문이 중요하며 학교에 가지 않더라도 친지 방문, 종교 활동 등의 사회활동을 유지하도록 도와야 한다.

안 교수는 “인터넷 중독이란 편의상 붙여진 잠정적인 명칭이지만 흔히 알코올중독, 마약중독 등 인간의 정신이나 행동을 변화시키는 물질에 중독되는 것과 유사하게 도박, 섹스, 게임 등에 중독되는 일종의 ‘행위중독’ 또한 심각한 문제”라며 “가족 등 주변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인터넷중독에 대해 가장 먼저 문제를 제기한 미국의 심리학자인 킴버리 영(Kimberly S. Young)교수은 인터넷 중독을 아래의 8가지 항목가운데 5개가 해당할 때 인터넷 중독이라고 제안하고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규봉 기자 ckb@kmib.co.kr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법

1. 인터넷(혹은 게임)에 집착한다고 생각합니까?
2. 인터넷(혹은 게임)에 만족하기 위해 점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까?
3. 인터넷(혹은 게임)을 자제하거나 그만두려고 했지만 실패한 적이 여러 번 있습니까?
4. 인터넷(혹은 게임)을 하지 않으면, 안절부절 하거나 우울해지거나 짜증스럽습니까?
5. 인터넷(혹은 게임) 할 때 처음 생각했던 것보다 더 오래 사용합니까?
6. 인터넷(혹은 게임) 때문에 대인관계, 학업 등을 망칠 위험에 처한 적이 있습니까?
7. 인터넷(혹은 게임) 하는 정도를 가족, 교사에게 숨기려고 거짓말을 한 적이 있습니까?
8. 인터넷(혹은 게임)을 괴로운 고민이나 기분에서 도피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합니까?

◇인터넷중독클리닉 상담전화및 유용한 사이트

한양대학교병원(02-2290-8074), 세화의원(02-439-5522), 나우의원(02-476-7533)
인터넷 중독 예방 상담센터: www.iapc.or.kr
정보통신 윤리위원회: www.icec.or.kr
학부모 정보감시단: www.cyberparents.or.kr
안전한 가정지킴이: www.safefamily.co.kr
고려대학교 인터넷 중독 온라인 상담센터: www.psyber119.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