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신환자 중 30%만이 제대로 혈당강하제 복용
[쿠키 건강] 당뇨에 걸린 환자 중 30%만이 제대로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심사평가정책연구소에서는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해 2004년에 2형 당뇨병(인슐린 비의존형)으로 새롭게 진단 받아 약제복용을 시작한 4만82명을 대상으로 당뇨병 치료제 처방 실태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당뇨병 치료제를 복용하기 시작한 첫해에 365일 중 291일 이상 혈당강하제를 처방받은 환자(투약 순응군)는 30.1%에 불과하였음. 두 번째 해 투약 순응군도 33.6%에 불과했다.
첫해 365일 중 291일 이상 처방받았던 투약 순응군 환자 중 두 번째 해에도 투약 순응군을 유지한 환자는 75.3%에 달했으나, 첫해 투약 비순응군인 환자가 두 번째 해 투약 순응군이 되는 경우는 15.6%에 불과했다.
첫해와 두 번째 해 모두 투약 순응군인 환자에 비해 두해(2년) 모두 투약 비순응군 환자에서 입원위험이 1.2배, 사망위험이 1.4배 높았다.
또한 첫해 투약 비순응군에서 두번째해 투약 순응군으로 돌아선 환자의 경우도 두해(2년) 모두 투약 순응군인 환자에 비해 입원위험이 1.2배 높았다.
그러나 첫해 투약 순응군이었다가 두번째해 투약 비순응군이된 환자의 경우에는 두해(2년) 모두 투약 순응군인 환자와 입원과 사망위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과 같이 한번 약제를 복용하기 시작하면 거의 평생을 먹어야 하는 질환의 경우 환자들의 지속적인 치료와 투약이 소홀해질 가능성이 높다.
당뇨약제의 지속적인 복용이 당뇨환자 관리에 무엇보다 중요하며, 특히 첫해의 투약 순응도가 향후 투약 순응도 및 환자의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첫해 투약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의료계 및 환자 대상 교육홍보의 확대와 금연·금주운동 등 건강생활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당뇨병약 복용, 초기부터 꾸준히 해야
입력 2010-02-24 1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