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건강]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2001년부터 2008년까지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폐경장애’로 병?의원을 찾는 여성이 2001년 70만 7천명, 2005년 66만 2천명, 2008년에는 70만 4천명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2008년 기준으로 40대 15만명, 50대 37만 4천명, 60대 이상은 17만 3천명이었으며, 30대 이하에서도 7천명의 실진료환자가 있었다.
또 폐경장애로 진료받는 여성환자 전체평균연령이 2001년 53.1세에서 2008년에는 55.1로 2.0세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50대와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본인의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병·의원을 찾는 것으로 추정된다.
여성 폐경장애의 연령대별 실진료환자수 점유율 추이는 40대가 2001년 28.9%에서 2008년에는 21.3%로 나타나 7.6%가 감소했지만, 60대 이상에서는 2001년 18.4%에서 2008년 24.6%로 나타나 6.2% 증가했다. 여성 폐경장애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8년 한해 동안 828억원이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산부인과 전문의 정재은 교수 “폐경은 여성 호르몬 분비 상실로 인해 생리현상이 끊기는 것으로 이에 안면 홍조, 우울증, 무력감, 질 건조증 등 동반해 나타난다”며 “특히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환자가 소폭 상승한데는 폐경 발생 연령이 늦추어져서가 아니고, 본인의 건강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60대가 늘어난 상황을 그 이유로 볼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수 기자 juny@kmib.co.kr
‘폐경장애’로 병원 찾는 여성, 연간 70만명
입력 2010-02-21 11:59